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美·中 관세전쟁에 코스피 0.5%↓…코스닥은 2% 상승 반전

김응태 기자I 2025.04.11 15:47:11

미국, 中 145% 합계 관세 부과 확인
외국인, 코스피 6894억 ‘팔자’, 코스닥은 262억 ‘사자’
기아 7%, 포스코퓨처엠 5%대 급락
바이오주 강세…펩트론, 상한가 직행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여파에 코스피가 하락 마감했다. 관세 부과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탓이다. 코스닥은 하락 출발했지만 오후 들어 상승세로 마감했다. 의약품 수출 호조로 바이오주가 강세를 나타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11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2.34포인트(-0.5%) 하락한 2432.72로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장중 2400선이 붕괴도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낙폭이 줄어들며 결국 2430선에서 장을 마감했다.

간밤 뉴욕증시도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 내린 3만9593.66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3.46% 하락한 5268.05로 집계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31% 밀린 1만6387.31를 나타냈다.

미국 백악관에서 중국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고 확인하며 미국 증시가 하락하자, 코스피도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하락세로 마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실효 관세율이 145%에 달한다고 명확히 밝히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된 것이 심약해진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다시 자극했다”며 “90일 관세 유예가 모든 불확실성을 해소하지 못한 만큼 단기적으로는 상하방으로 높은 변동성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6894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4335억원, 기관은 1380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6634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전기·전자, 보험 등은 1% 넘게 밀렸다. 운송·창고, 금속, 제조, 오락·문화 등은 1% 미만 소폭 하락했다. 반면 기계·장비는 4% 넘게 올랐다. 건설, 일반서비스, 제약, 의료·정밀 등은 1%대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도 등락이 엇갈렸다. 기아(000270)는 7% 넘게 급락했다. 포스코퓨처엠(003670), 현대차(005380) 등은 5%대 하락했다. SK이노베이션(096770), 메리츠금융지주(138040),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은 4% 넘게 밀렸다. 이와 달리 한화오션(042660)은 6% 넘게 올랐다. HD현대중공업(32918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등은 5%대 상승했다.

코스피와 달리 이날 코스닥 시장은 전거래일 대비 13.80포인트(2.02%) 오른 695.59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하락 출발했지만 오후 들어 회복세가 두드러지며 상승 전환했다. 4월1~10일 잠정 수출데이터에서 의약품 수출 호조세를 보인 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이 262억원, 기관이 130억원 순매수하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374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상승하는 업종이 다수였다. 제약, 출판·매체 등은 3%대 상승했다. 화학, 일반서비스, 의료·정밀, 오락·문화, 운송·부품 등은 2% 넘게 올랐다. 반면 금융, 운송·창고, 비금속 등은 1% 미만 하락했다.

코스닥 시장 내 시총상위주도 상승하는 종목이 더 많았다. 펩트론(087010)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엔켐(348370)은 19% 넘게 급등했다. 루닛(328130)은 9%, 리가켐바이오(141080)는 8%대 각각 뛰었다. 이와 달리 카카오게임즈(293490), 젬백스(082270), 원익IPS(240810), 에코프로비엠(247540) 등은 3%대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 거래량은 3억6095만주, 거래대금은 7조6111억원으로 집계됐다. 코스닥 거래량은 10억3799만주, 거래대금은 6조5578억원을 기록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