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한동훈 '메가폴리스' 실현 여부 공방…전문가 "방향은 공감"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형일 기자I 2025.04.28 15:55:04

한동훈, 메가폴리스 공약…서울급 산업 도시 육성
김·홍·안 "허황된 공약…10년 걸리는 사업" 직격
전문가 "핵심은 일자리…지역 이기주의 극복해야"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경선 예비후보가 내놓은 ‘5대 메가폴리스’ 실현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책 방향을 공감하면서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지난 26일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왼쪽부터)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경선 후보가 대화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5대 메가폴리스는 인공지능(AI), 바이오, 에너지, 미래차, 반도체 등 국가전략 5대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전국에 5개의 서울을 만들겠다는 공약이다. 한 후보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기숙형 과학고와 영재고, 국제학교 등을 설립·확대하고, 연구기관과 기업, 주거지, 문화공간이 통합된 복합지구를 개발하는 방안을 내놨다.

지난 26일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선 5대 메가폴리스 공약이 도마에 올랐다. 김문수 후보는 “(경기도지사 재임 시절) 광교·판교·고덕·다산 등 여러 도시를 만들었는데, 집 한 채 짓는 데 2년이 걸린다”며 “서울과 같은 도시를 2년 만에 지방에 5개 만드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홍준표·안철수 후보도 동조했다. 홍 후보는 “허황된 공약”이라며 “제대로 신도시를 만드는 데 10년이 걸리고, 기존 도시를 리모델링하는 데 10년이 걸린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판교 테크노밸리가 제대로 자리 잡는 데 10년이 걸렸다. 나머지는 30년 정도가 지나서 재건축을 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방향성에는 공감했다. 다만 일자리 창출 등을 핵심으로 하는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실행 전략, 시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봉문 목원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단순한 기능 분리로 메가폴리스 공약이 실현될 수 없다”며 “수도권 공공기관을 강제로 이전한 혁신도시가 대표적인 실패 사례”라고 언급했다.

이어 “지방은 2030세대 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주택, 교육, 의료 등 정주 환경도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특정 산업을 핵심으로 하는 메가폴리스가 조성되려면 지역별로 전문 인력 양성을 장시간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인길 대진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메가폴리스는 20~30년 소요되는 장기 과제다. 임기 내에 실현을 목표로 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적 공감과 합의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선호하는 산업을 서로 가져가려고 하는 ‘지역 이기주의’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통합은 다소 부침을 겪고 있다. 최근 토론에서 한 후보는 “지방 대도시를 중앙 차원에서 메가폴리스로 서울과 경쟁하게 키우자는 이야기”라고 말했지만, 지난해 수면 위로 떠오른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다시 언급되기 시작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