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배달앱 이용 비중이 가장 높은 치킨 업계를 시작으로 앱 사용 확산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bhc, BBQ, 굽네치킨 등 18개 주요 프랜차이즈와 신한은행, 한국외식산업협회 등과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가맹점 입점을 유도 중이다. 오는 6월에는 200억원 규모의 ‘서울배달상생자금’을 조성해 공공앱 입점 소상공인에게 저리 융자 지원도 제공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배달앱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공공 배달플랫폼 활성화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라며 “민간 배달 플랫폼이 과도한 수수료와 포장 주문까지 수수료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플랫폼 독과점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협상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냉랭한 시선이 공존한다. 치킨가격을 대폭 할인한다고 해도 소비자들이 쉽게 이동할지 미지수라서다. 서울배달플러스땡겨요는 서울 일부 자치구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할 뿐더러 가맹점 수도 민간 배달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배민·쿠팡이츠처럼 다양한 음식 선택지와 빠른 배달이 익숙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단순 할인만으로 앱을 바꿀 유인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것이 고객 대응이다. 배달이 늦는 경우, 음식 메뉴가 잘못 배달된 경우 등 실시간 대처가 민간앱에 비해 부족하다. 서비스 인력이 배민, 쿠팡이츠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최대 30% 할인율도 체감 효과에 물음표가 붙는다. 배달앱 업계 관계자는 “편의를 위해 배달을 시키는 소비자가 상품권을 구입하고 쿠폰, 프로모션까지 모두 챙기기는 불편할 것”이라며 “특히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자사앱 주문 할인을 내세우고 있는 것도 매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
30% 할인 혜택의 지속 가능성도 물음표다. 서울시와 신한은행,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가 분담하는 형태지만 비용 부담이 누적될 경우 단기 프로모션으로 끝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아직 정확한 분담률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배달플러스가격제 시행 시기와 가격 분담 등 구체적인 사항은 치킨 프랜차이즈와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협의 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공이 민간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방식이 과연 옳은 것인지에 대한 논란도 여전하다.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세금이 투입되는 구조인 만큼 시장 원리를 왜곡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단기 이벤트로 끝난다면 앞서 여러 지자체가 추진했던 공공배달앱 사례처럼 이용자 수 부족과 예산 낭비 문제로 실패한 전례가 반복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특히 공공앱이 민간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 품질과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소비자 외면은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의 시각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공공배달앱은 시장 과점을 견제하고 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한다는 정책적 의미가 있다”면서도 “결국 플랫폼 경쟁력은 소비자의 자발적인 선택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간앱과 비교해 서비스 품질과 편의성이 부족하다면 일시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크고 장기 이용 확산이 실패한다면 세금 투입의 정당성 논란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