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트업코리아펀드는 민간 자본을 중심으로 조성되는 정부-민간 합동 벤처펀드다. 일반적인 모태펀드 출자사업이 모태펀드가 60%가량을 출자하는 데 반해, 스코펀은 정부가 30%, 민간 출자자가 70%(민간 LP 40%, 운용사 추가 모집 30%)를 부담하는 구조다. 정부는 민간 중심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우선손실충당, 초과수익이전 콜옵션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스코펀은 출범 첫해였던 2024년, 19개 민간 출자자가 3260억원, 정부가 2295억원을 출자해 총 8733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했다. 이 과정에서 신규 출자자의 다수 참여와 기존 출자자의 확대 투자가 이어지며, 민간 중심 벤처투자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도 민간 참여는 활발하다. 다만 신청 운용사 중에는 IBK벤처투자(IBK기업은행 계열), 포스코기술투자(포스코 계열), 하나증권(하나금융지주 계열), 유안타인베스트먼트(유안타금융그룹 계열), 교보증권(지앤텍벤처투자와 컨소시엄) 등 민간 LP 계열 운용사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 ‘계열사 셀프 GP 선발’ 구조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 같은 구조는 지난해 진행된 2024년 스타트업코리아펀드 출자사업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출자사업에 참여한 민간 LP 계열 운용사 대부분이 GP에 선정된 바 있다. 당시에도 대기업 중심의 선정 구조에 대한 비판이 있었으나, 올해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벤처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민간 중심 출자를 유도한 점은 긍정적이지만, 결과적으로 계열 자본이 계열 운용사에 집중되는 구조가 반복될 경우 시장 내 공정성과 신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 출자의 본래 목적은 민간 투자 기반 확대와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인데, 계열사 중심으로 GP가 집중될 경우 중소 운용사나 신생 VC는 배제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스코펀을 통해 민간 자본 기반을 확대하고 다양한 운용사에게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출자사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공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제도 설계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