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9일 브리핑을 갖고 “총리 인사청문회 국회 회부는 당장은 말하기 어렵지만 잘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가에선 10일 오전 중으로 요청서가 국회에 송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요청서엔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자 지명 배경과 김 후보자의 병역 사항, 재산 신고, 범죄 경력 등이 담긴다.
인사청문회법상 국회는 인사청문요청서를 접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인사청문회를 마치고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의장에 제출해야 한다. 국회는 접수 후 이틀 안에 여야 13명으로 청문위원을 선임, 인사청문특위를 구성해 오는 23~24일 이틀간 청문회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문재인정부에서도 이낙연 초대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준은 정부 출범 21일만에 이뤄졌다. 2017년 5월 10일 정부 출범 날에 후보자 지명, 12일 국회 청문요청서 송부, 23~24일 이틀 동안의 청문회로 이어졌다. 야당의 반대로 청문회 보고서 채택에 난항을 겪었지만 같은 달 31일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총리 인준 절차가 마무리됐다.
이재명정부는 여대야소 구도로 김민석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이 불발될 가능성은 낮게 점쳐지고 있다. 다만 청문정국이 본격화하기 전부터 야당에선 김 후보자에 대한 공세가 거세, 청문회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김 후보자를 두고 “실형 전과자이고 수억 원대의 거액 부정부패 사범”, “‘아버지 이재명’을 위한 맹목적 충성행보를 이어왔고 그 충성의 대가로 공직을 제공하는 것은 매관매직”이라고 힐난했다. 같은 당 나경원 의원은 “미국 문화원 점거농성 사건과 반미운동을 주도한 전국학생총연합 1기 의장 출신”이라고 색깔론을 펴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10일 오전 총리 지명 이후 처음으로 공식 기자간담회를 갖고 야당의 이러한 공세에 대한 입장과 국정운영에 관한 구상 등을 밝힐 예정이다. 김 후보자는 앞서 지난 5일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제2의 IMF와 같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민생과 통합 두 가지를 매일 매일 새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