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전 후보자는 “연내 해수부 구성원, 다양한 지역 등 의견을 듣고 이를 ‘북극항로’ 추진은 물론 ‘해양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에너지로 쓰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국토교통부의 항만·배후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기능을 이관해 권한과 기능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
전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으로서 공약화된 것이고, 이제는 현실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서울·수도권 중심의 ‘일극 체제’로 성장 엔진이 하나밖에 없어, 이대로라면 성장엔진이 완전히 꺼지게 된다”며 “부산을 중심으로 한 북극항로, 해양강국이 되는 것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고, 부산 이전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어 전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의 ‘연말까지 이전 완료’라는 지시에는 북극항로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해석했다. 전 후보자는 “일본도 5~7년 전부터 준비를 시작했고, 중국은 빈 컨테이너를 북극항로에 띄울 정도로 세계는 치열한 경쟁 중”이라며 “대한민국이 이를 잘 준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선도하기 위해서는 속도를 내야 한다는 의지를 반영한 말씀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해수부 단순 이전보다는, ‘대한민국 성장엔진’을 주도할 새 부처로서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일부 이전이나 단계적 이전 등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전 후보자는 “합의된 바는 없지만 단순히 지금 모습으로 옮겨가기보다는 기능과 역할,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국토교통부의 항만·배후인프라 개발, 행정안전부의 섬 관광(유인도)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을 것”이라며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은 한 몸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양수산 관련 경험·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맞는 말이지만, 그래서 더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조언을 듣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부산 사람이고, 부산 지역 의원인 만큼 충분히 관심을 가져 왔던 분야”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부분은 잘 채워 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나오는 ‘내년 부산시장 출마설’에 대해서는 “제게 주어진 과제는 부산 발전을 넘어 대한민국 성장엔진”이라며 “그런 생각을 할 겨를도 없고, 실적과 성과를 내는 데에 전력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3일 전 의원을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다. 대통령실은 부산에서의 3선 경험과 더불어 대선 과정에서 ‘북극항로 개척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경력이 있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공약 실천의 적임자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