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3년에 걸쳐 개발된 케이지에이의 폐배터리 복원기는 납축전지 복원에 최적화돼 있으며, 인공지능(AI), 배터리관리시스템(BBMS)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됐다. 적절한 밸런싱과 모니터링을 통해 황산납 결정화 방지 등 배터리 수명 단축 주요 원인을 제거하고, 잔량 대비 최소 2배 이상의 수명 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뛰어난 우수성을 인정받아 개발 과정에서 함께 협력한 ‘골든 플러스’를 통해 세계한인무역협회(애틀랜타 월드옥타) 회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보급 확대에 따라 납축전지 리사이클링 시장은 ‘블루오션’이자 ‘니치마켓’으로 주목받고 있다. 납축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동일 용량 기준 가격이 3~4배가량 저렴하고, 화재 위험도 낮아 여전히 산업용 모빌리티, 통신기지국, 데이터센터용 UPS(무정전 전원 장치) 및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은 납축전지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중장기적으로도 매출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시장이다. 케이지에이 복원기 활용 시 수요처 입장에서 신품 배터리 대비 최대 약 50%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교체 수요뿐 아니라 유지보수 시장에서도 주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개발 단계에서 이미 해외 현장 실증 테스트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한 만큼, 빠른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과 일본을 선공략 시장으로 선정하고 진출을 본격화하게 됐다”며 “해당 국가들은 최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대와 맞물려 납축전지 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현지 기업들과 합작법인(JV) 설립을 통한 진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시장 안착에 성공할 경우 장기적으로 안정적 매출 발생이 가능한 추가 캐시카우 사업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