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단장은 “심 총장과 박 본부장, 수하 검사들이 노상원 수첩에 드러난 뚜렷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내란 수사를 하지 않고 기존 공소장을 베껴 공범들의 조사를 제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특검이 출발한 만큼 검찰청, 법무부, 특수본까지 초기 수사 과정에 대한 조사가 별도로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이들을 고발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을 향한 여당의 공세가 날로 거세지고 있다. 한정애 민주당 의원 등 여당 의원은 오는 17일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채용비리와 관련해 공수처에 고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같은날 특혜채용비리 진상조사단은 공개회의를 열고 심 총장을 향한 압박을 이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날엔 심 총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067990) 주가조작 의혹 관련 대통령실과 교감을 했단 의혹이 제기됐다. 한겨레는 이날 심 총장이 지난해 10월 10~11일 김 전 수석과 비화폰으로 두 차례 통화한 사실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한겨레는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이 제기되던 시기와 겹친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심 총장은 김 전 수석에게 전화해 12분 32초 동안 통화했고, 이튿날엔 김 전 수석이 심 총장에게 전화해 11분 36초간 통화했다. 실제 같은 달 17일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무혐의 처분한 바 있다.
이같은 의혹 제기에 대검찰청은 “검찰 사건과 관련해 통화한 사실은 없다”고 해명했다. 대검은 이날 출입 기자들에게 “검찰총장 취임 초기에 민정수석으로부터 인사차 비화폰으로 연락이 와서 검찰 정책과 행정에 관한 통화를 한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부재중 통화에 응답한 것이 있었을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천개입 의혹 사건은 당시 언론 보도가 되고 있었으나 이와 관련해 통화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검찰총장은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팀에 2024년 10월 17일 평검사 2명을 충원하고 11월 5일 차장검사, 부장검사 등 4명을 더 충원하는 등 수사팀을 강화해 수사를 진행했다”고 했다.
이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은 검찰총장의 지휘권이 배제돼 있는 사건이었으므로 관련 논의를 진행할 게재가 없었다”면서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10월 17일 도이치모터스 사건을 무혐의 결정했고 검찰총장은 당일 중앙지검 브리핑 직전 중앙지검장으로부터 수사결과를 보고받았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