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지난 2일 카이스트 대전 본원에서 열린 ‘미래 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중국은 제조의 스케일이 크고 AI 로봇에 대한 인풋(투자)이 엄청나고 엔지니어도 훨씬 더 많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번 행사는 카이스트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들, 청년 연구자들과 산업계와 학계의 리더들이 모여 AI 기술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차원에서 열렸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의 기술 굴기를 두고 강한 위기감을 표한 것이다. 중국은 AI, 로봇, 반도체 등 첨단 전략 산업에서 한국을 이미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최 회장은 “대한민국은 제조업을 계속 강화를 시켜 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 그들(중국)의 스피드가 더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우려했다.
그는 그러면서 “장기적인 게임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풀링(pooling)’이 매우 중요하다”며 “모든 기업들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그 이후 제조 단지 같은 곳에서는 그 모든 솔루션을 한꺼번에 적용해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지 않으면, 이런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 폭탄을 두고서는 “지금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올린다고 해도 이런 (AI와 제조업을 접목하는) 기술이 없으면 (생산 공장을) 다른 나라에 나가는 것도 할 수 없다”며 “그 나라에 가도 AI와 제조업이 결부돼 있는 경쟁자들이 들어와서 공장을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AI의 제조업 적용이 전례 없는 수준의 대외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는 열쇠라는 의미로 읽힌다.
최 회장은 또 “현재 고민 중 가장 큰 것은 과연 AI가 인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만들어서 사람들이 돈을 지불할 만큼 효용성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것”이라며 “그 시기가 언제쯤 올지, 이에 따라 AI가 계속 순환적으로 돌 수 있을지 여부”라고 했다. 그는 “AI 섹터에서 그 답을 알면 전략은 더 쉬워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