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는 다음 달 중순께 하반기 연합 군사연습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을 실시하고, 이와 연계된 정부의 전시대비연습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한미는 한반도 전면전 상황을 가정한 방어적 성격의 전구급 연합 연습을 매년 두 차례 실시한다. 통상 3월에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 연습을, 8월에는 정부의 을지연습과 병행한 UFS를 진행한다.
FS나 UFS는 전쟁지휘부가 벙커에 모여 전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워게임을 진행하는 지휘소연습(CPX)이 핵심이다. 이를 계기로 한미 연합군은 다양한 야외기동훈련(FTX)을 실시한다.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이나 잠수함, 전략폭격기 등 미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전개돼 함께 훈련하기도 한다.
작년 UFS 당시에는 이와 연계된 한미연합 야외기동훈련이 48건이 이뤄졌다. 연합상륙훈련과 통합화력훈련, 한미 해병대의 연합훈련 ‘케이맵(KMEP)’ 등이 진행됐다. 특히 미 우주군도 참가해 GPS 교란 공격과 사이버 공격 등에 대응하는 절차도 숙달했다. 올해 상반기 FS 연습 때도 이와 연계한 야외기동훈련이 지·해·공 및 사이버·우주 등 전 영역에 걸쳐 16건이 진행됐다.
|
한미 간 새롭게 합의한 작전계획은 △0단계: 정전상태·대비태세 유지 △1단계: 억제 △2단계: 거부 및 방어 △3단계: 전장지배·격멸 △4단계: 안정화 △5단계: 정부 통치 지원으로 구분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남침에 따른 전면전 상황에서 이를 방어하고 반격 이후 북진해 북한 안정화와 새 정부 통치 지원까지를 염두에 둔 시나리오다. 이를 연습하기 위한 미 증원 병력 파견 등이 이뤄지고 있고, 일선 야전부대들의 사전 훈련 준비도 사실상 끝난 상황이다. 훈련 연기나 축소·조정 등이 사실상 어렵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한미연합훈련 조정을 실제 결정할 경우 UFS와 연계한 야외기동훈련 일부를 축소하는 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 미 전략자산 전개 최소화도 협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실은 국방부와 외교부, 국가정보원 등 여러 부처의 의견을 듣고 연합훈련 조정과 관련한 판단을 내린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