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여권에 따르면 대통령실이 과학기술정부통신부 등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유임)한 인선안에 대해 이 총리 직무대행이 임명 제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임명된 이후 내각 구성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전임 정부 인사에게 장관 제청권을 맡긴 것을 두고 여론을 의식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야권에서 줄기차게 지적한 김 후보에 대한 재산 형성 과정이나 자녀 대입 특혜 의혹, 석사 학위 취득 과정 등 각종 논란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거나 추가로 대형 악재가 터질 경우 임명을 장담할 수 없어서다. 앞서 오광수 민정수석이 차명 대출 및 부동산 차명 관리 의혹으로 이재명 정부 고위직 ‘1호 낙마’ 사례가 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
대통령실 관계자는 “보통 정권 교체기에는 전임 정부의 국무총리가 있는 상황에서 새 내각 구성원을 임명해야 하는 불가피성이 있다”며 “관례적으로 해왔던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전날에 이어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김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지켜보겠지만, 당장 낙마를 시킬 사유는 없다고 판단하는 것이 내부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이날 청문회가 끝나면 여권에선 총리 인준안을 6월 국회 안에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여야 합의가 안 되면 국회 의석 과반 이상을 차지한 민주당은 이달 30일이나 추경 처리 시점인 다음 달 4일 이전까지는 인준안을 의결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남은 8개 부처에 대한 장관 인선도 언제 이뤄질지 관심이다. 주요 경제부처인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교육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은 아직 수장이 정해지지 않았다. 이들 부처는 일부 조직 개편을 진행하고, 장관 후보들을 새 총리가 임명 제청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