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영국의 소비자심리 조사기관 GfK는 7월 영국 소비자들의 전체 신뢰지수가 마이너스(-)19로 지난달보다 1포인트 하락해 ‘비관 기조’가 확산했다.
주목되는 점은 저축지수가 7포인트 급등해 34를 기록,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는 점이다.가계가 세금 인상과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자금을 쌓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영국 경제 환경을 둘러싼 우려는 빠르게 커지고 있다. 노동당 정부의 대규모 증세 예산, 생활비 급증, 물가·공공요금 인상 등 복합적인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경제지표는 인플레이션이 17개월 만에, 실업률이 4년 만에 각각 최고치로 치솟았다. 올해 4월 시행된 260억파운드 규모의 급여세 인상과 최저임금 추가 인상까지 맞물려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평가다.
에이다벨 GfK 소비자 통계 디렉터는 “가을 예산에서 추가 세금 인상설과 더불어, 이미 생활비·물가 쇼크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위험을 키우고 있다”며 “많은 가계가 앞날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레이첼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이 오는 가을 ‘예산 구멍’을 메우기 위해 최대 300억파운드 규모의 추가 증세를 시행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올해 1분기 0.7% 성장세 이후 4~5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 7월 구매관리자 지수 급락 및 대량 해고 등 경기둔화 신호가 뚜렷하다고 경고했다.
영란은행(BOE)의 통화정책위원인 캐서린 만은 “생활비·실업에 대한 우려가 가계의 ‘비 오는 날을 대비한 저축’(rainy day fund)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며 소비 둔화, 경기침체의 악순환을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