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민주당에선 정부의 추경안을 두고 ‘찔끔 추경, 뒷북 추경, 고집불통 추경’이란 비판을 쏟아냈다. 민주당의 요구보다 규모도 작고 적기를 놓친데다,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이 한 푼도 담기지 않았단 이유에서다. 지역화폐 예산을 포함해 경기부양용 추경을 늘려야 한단 얘기다. 민주당은 이날 예결위와 동시에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위에서 지역화폐 예산 1조원을 신규 반영한 추경안을 단독 처리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 부총리는 ‘민주당 요구대로 추경 규모를 15조~20조원으로 증액할 여력이 우리 경제에 있나’라는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엔 “추경 규모를 너무 크게 했을 경우 국채 시장이나 재정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신용평가사들의 평가는 좋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 시점에서 국채 발행을 늘리면 최근 한 차례 연기된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나’라는 질문엔 “(큰 틀에선)대외 신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2차 추경 가능성에도 선을 그었다. 최 부총리는 장철민 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2차 편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다음번 추경에 관한 논의는 현재 추경 논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국회에서는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한미 2+2 통상협의’ 관련 질의도 이어졌다. 최 부총리는 미국과의 통상협의에 대해 민주당 일각에서 ‘매국 행위’로 규정하고 중단을 요구한 데 대해선 “그것은 국익에 맞지 않는다고 본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협의를 시작해서 서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질서 있는 협의를 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면서 “빨리 시작하는 것이 (관세 부과) 유예기간 동안 국익 극대화를 위해 소통하고 좋은 아웃풋(결과물)을 만드는 데에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예결위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불참하면서 한 대행의 ‘대선 출마론’에 관한 비판도 나왔다. 한 대행의 사퇴 시 6·조기 대선까지 다시금 ‘대행의 대행’을 맡아야 하는 최 부총리는 ‘한덕수 출마론’에 대한 입장을 묻자 “제가 평가할 위치가 아니다”며 답변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