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정부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한 대행은 5월 초 사퇴를 한 직후 대선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공직자 신분인 한 대행이 대선 출마를 위한 사퇴 시한은 5월 4일이다.
이를 감안하면 한 대행은 5월 초 사퇴 후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 선언을 한 이후 국민의힘 후보가 결정되는 5월 3일부터 대선 후보자 등록일인 11일까지 ‘범보수 빅텐트’를 위한 단일화를 추진할 것이란 계산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아직 기다려봐야 하지만 (대선 출마 관련) 전반적인 분위기는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날짜를 좁히다 보면 다음달 1~2일 중에 한 대행이 사퇴를 하고 출마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이날 사실상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한 한 대행은 미국의 고관세 조치가 유예된 7월까지 국익을 위해 결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행은 “이번 주부터 관세·비관세 조치, 조선업 협력 방안 등 분야별 실무협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며 “최상목 경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을 중심으로 모든 부처가 원팀이 돼 지혜를 모으고, 국익을 위해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만약 한 대행이 다음달 초 사퇴를 하게 되면 후임자인 최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한 달여 만에 다시 맡게 되는 만큼 대외불확실성 해소를 재차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행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8번째 거부권이다. 본인이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했던 이완구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반발, 이를 막는 개정안을 통과시키자 거부 의사를 밝힌 것이다. 한 대행은 “이번 개정안은 헌법에 규정돼 있는 통치구조와 권력분립의 기초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고, 현행 헌법 규정과 상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한 대행의 출마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한 대행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손영택 총리실 비서실장, 김철휘 총리실 소통메시지 비서관은 사표를 냈으며 이를 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다른 참모인 김수혜 공보실장 등은 한 대행의 출마 선언 직후 대선 선거 캠프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대철 헌정회장은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해 한 대행의 출마 여부에 대해 “처음에는 좀 주저주저하다가 마음을 결심하고 있는 것 같다”며 “국민이 불러낸 것이다. 안 나갈 수 없게끔 된 분위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