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26조’ 체코 원전 7일 본계약…추가 수출 위한 과제 남아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형욱 기자I 2025.05.01 16:08:24

2009년 UAE 원전 잇는 16년 만의 쾌거
한수원 "적기 준공 위해 끝까지 최선"
수주 앞선 美지재권 분쟁 해소 과정에서,
수출체제 개편·수익성 우려 해소 과제도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팀코리아가 오는 7일(현지시간) 26조원 규모의 체코 원전 수출을 위한 본계약을 진행한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출 이후 16년 만의 쾌거다.

체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전경. 체코 정부는 이곳에 원전 2기를 신설키로 하고, 지난해 7월17일(현지시간) 사업자 본계약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수력원자력을 선정했다. 이후 양자간 협상을 거쳐 오는 7일 본계약을 체결한다. (사진=한수원)
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체코 정부는 지난 30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두코바니 원전 5·6호기 건설에 필요한 예산안을 승인하며 한수원과의 본계약 소식을 알렸다.

한수원은 지난해 7월 미국·프랑스 경쟁사를 제치고 이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후 발주사인 체코전력공사의 자회사 EDUⅡ와 본계약 협상을 진행해 왔다. 체코 경쟁 당국이 경쟁사의 이의제기 절차를 밟느라 애초 예정된 3월보다 두 달가량 늦춰졌으나 이번 발표로 계약 차질 우려를 불식하게 됐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성공적인 계약 이행과 적기 준공을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원전은 이로써 16년 만에 두 번째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 한국전력(015760)공사는 지난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4개호기 건설 사업을 따내 지난해 마무리한 바 있다. 특히 첫 유럽 원전시장 진출이기도 하다.

규모도 역대급이다. 예상 사업비가 4000억코루나(약 26조원)로 최대 규모 해외 플랜트 사업인 UAE 바라카 원전 4개호기 건설 사업 규모(191억달러·27조원)에 육박한다. 체코 정부는 이곳 외에 테믈린 원전 2기 신설을 검토 중이고, 추진 확정 땐 한수원에 우선협상권이 있는 만큼 총 수주액은 현재의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

업계는 반색하고 있다. 팀 코리아에는 한전기술(052690)과 한전KPS(051600), 한전원자력원료 같은 공기업 외에 두산에너빌리티(034020), 대우건설(047040) 등 대기업과 수많은 중소 협력사가 함께 할 예정이다.

황주호(오른쪽)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지난해 7월24일(현지시간) 체코에서 이 사업 발주사(EDUⅡ)의 모회사인 체코전력공사와 다니엘 베네쉬 사장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한수원)
다만, 수주 과정에서 적잖은 개선 과제도 드러났다. 여러 어려움을 딛고 미국·프랑스 원전기업의 안방 격인 유럽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는 점은 큰 성과이지만, 이를 위해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적재산권 문제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여러 불안감을 남겼다.

업계 안팎에선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지재권 분쟁 종료를 조건으로 한국이 유럽 시장에서 발을 빼는 조건이 있었다는 추측이 나온다. 한수원과 한전이 최근 유럽 지역 원전 수주활동을 중단하며 이 추측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자연스레 한국의 원전 수출 거버넌스 재편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한전과 한수원이 국가별로 수주 활동 중인데, 그 창구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수익성 우려도 있다. 앞선 UAE 바라카 원전은 앞서 10%의 마진을 예상했으나 공기 지연에 따른 건설비용 증가 탓에 이를 수주한 한전에는 이익 없는 사업이 됐다. 한전과 한수원은 정산 과정에서 늘어난 건설비용 부담을 두고 분쟁 중이다. 웨스팅하우스와 지재권 분쟁 종료를 조건으로 일감과 기술 로열티를 제공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수익성에 대한 우려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