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은 2일 국립재활원 누리관 2층에서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장애인과 노인의 일상생활 보조 및 돌봄 부담 감소를 위한 ‘수요자 중심 돌봄 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진행됐다.
|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병실환경과 유사하게 간호사 호출(너스콜) 시스템이 구현돼 있으며 사용자(장애인/노인)와 돌봄자에게 필요한 낙상 및 자세변환 감지가 가능한 모니터링 센서도 설치됐다. 체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동침대, 별도의 슬링이나 레일 등의 제한 없이 자유로운 범위로 이동할 수 있는 이승기기 등의 돌봄기기도 함께 배치됐다.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은 병실 환경에서 돌봄 로봇 실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시설 △병실 △가정 등의 목욕 돌봄 로봇 및 기기 실증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미세 입자의 미스트를 분사하는 형태의 목욕 돌봄 로봇과 휠체어를 도킹하여 욕조 기울임 기능을 통해 쉽게 입욕할 수 있도록 도와 물이 담긴 욕조 속에서 목욕할 수 있는 방식의 목욕 돌봄 로봇이 배치됐다. 또한 목욕 돌봄로봇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분리된 두 공간으로 설계하였고, 배수시스템 및 트렌치 커버(배수로 덮개) 크기, 출입문의 너비와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설계됐다.
연구진은 다양한 돌봄 로봇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포함한 실증연구를 통해 돌봄 부담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은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 로봇의 실증, 실거주체험 장소, 돌봄 로봇 전시체험 공간으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장애인과 노인 관련 당사자 및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연구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