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장애인·노인 목욕 돕는 로봇…“사용 후기 부탁해요”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안치영 기자I 2025.05.02 11:00:15

국립재활원, 스마트돌봄스페이스 개소
병실·목욕환경 구현…실거주·서비스 평가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장애인·노인의 목욕과 일상생활을 보조해주는 로봇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정부는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돌봄 로봇에 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은 2일 국립재활원 누리관 2층에서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장애인과 노인의 일상생활 보조 및 돌봄 부담 감소를 위한 ‘수요자 중심 돌봄 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진행됐다.

국립재활원 내 설치된 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 모습(사진=국립재활원)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 로봇에 대한 현장 실증을 수행하고 장애인과 노인, 돌봄자가 시범적으로 거주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돌봄 로봇 전시체험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이번에 개소된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 로봇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병실환경을 고려하여 구축됐다. 사용자(장애인/노인) 자료수집을 자동화하여 △혈압 △체온 △혈당 △수액 투여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는 서버/클라우드에 저장되도록 구축했다.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병실환경과 유사하게 간호사 호출(너스콜) 시스템이 구현돼 있으며 사용자(장애인/노인)와 돌봄자에게 필요한 낙상 및 자세변환 감지가 가능한 모니터링 센서도 설치됐다. 체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동침대, 별도의 슬링이나 레일 등의 제한 없이 자유로운 범위로 이동할 수 있는 이승기기 등의 돌봄기기도 함께 배치됐다. 이를 통해 국립재활원은 병실 환경에서 돌봄 로봇 실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시설 △병실 △가정 등의 목욕 돌봄 로봇 및 기기 실증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미세 입자의 미스트를 분사하는 형태의 목욕 돌봄 로봇과 휠체어를 도킹하여 욕조 기울임 기능을 통해 쉽게 입욕할 수 있도록 도와 물이 담긴 욕조 속에서 목욕할 수 있는 방식의 목욕 돌봄 로봇이 배치됐다. 또한 목욕 돌봄로봇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분리된 두 공간으로 설계하였고, 배수시스템 및 트렌치 커버(배수로 덮개) 크기, 출입문의 너비와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설계됐다.

연구진은 다양한 돌봄 로봇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포함한 실증연구를 통해 돌봄 부담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은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 로봇의 실증, 실거주체험 장소, 돌봄 로봇 전시체험 공간으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장애인과 노인 관련 당사자 및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연구를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