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의 열악한 의료 상황을 대폭 향상시킨다는 목표로 추진하는 공공의료원 건립 계획이 공식적인 행정 절차에 돌입했고 이 지역 산업 구조 재편을 통해 지역의 재정·경제 여건을 개선할 테크노밸리 역시 분양을 앞두고 있다.
|
경기북부 주민들의 이런 요구에 발맞춰 경기도는 지난 10일 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도가 남양주시와 양주시를 공공병원 후보지로 선정한 이후 시·군과 함께한 첫 공식 회의다.
도는 이곳에 각 300개 이상 병상을 보유한 공공병원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남양주시는 호평동 백봉지구 내 종합의료시설 부지 약 3만 3000㎡에 공공의료원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이곳은 전부 시유지인 만큼 시는 도시계획 변경 절차없이 인허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만큼 빠르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주시는 지역 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옥정신도시 인근 의료시설용지 5만 5697㎡ 규모 부지에 공공의료원을 건립한다. 도는 두 도시와 협의를 통해 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2026년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거쳐 2030년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경기북부의 열악한 산업 여건을 개선해 지역의 경제적 자립을 촉진할 테크노밸리 조성을 위한 가속 페달에도 힘을 싣는다. 도는 일산·양주 테크노밸리의 성공적인 분양을 위해 관계기관(부서) 협업을 통한 앵커기업 투자유치에 집중한다.
고양특례시 대화동과 법곳동 일대 87만㎡ 부지에 조성중인 일산테크노밸리는 ICT와 바이오·메디컬, 미디어·콘텐츠, 스마트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분야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양주시 마전동에 21만8000㎡ 규모로 조성하는 양주테크노밸리는 벌써 분양가를 3.3㎡ 당 500만원 가량으로 제시했으며 오는 9월 일반 분양 시행 예고까지 한 상태다. 양주테크노밸리는 전체 산업 용지 중 약 30%에 대한 9건의 입주 협약을 맺었다.
도 관계자는 “공공의료원과 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가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향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현재 추진하고 있는 여러 행정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조속히 경기북부 도민들의 염원에 화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