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국토부 '친환경 수소열차' 실증 착수…2028년 상용화 목표

이배운 기자I 2025.05.07 11:00:00

총 321억원 투입…1편성 2027년 시범 운행 추진
최고 속도 150km/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
2035년 '37조원 규모' 글로벌 시장 겨냥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국토교통부는 수소열차 상용화를 위한 실증 연구개발(R&D)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비전철 노선에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열차를 시범 운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총 321억원을 투입하고 2028년 본격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수소열차 시스템 구상도 (사진=국토교통부)
수소열차는 수소 저장용기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 전기를 생산하고, 전동기를 구동해 추진력을 얻는 친환경 미래형 열차다. 전력을 외부에서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 전철화가 어려운 비전철 노선 지역에서도 운행이 가능해 철도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철도(복선)의 표준공사비 1km당 206억원 중 전철화 비용이 약 18%(37.3억원)에 불과한 만큼, 인프라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수소열차는 디젤열차 대비 에너지 효율이 2배 이상 높고 탄소 배출이 없어 노후 디젤열차를 대체할 경우 경제적·환경적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이에 따라 세계 수소열차 시장은 연평균 25% 이상 성장해 2035년에는 약 37조원(264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국내 수소열차의 기술·제도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최고 속도 150km/h(설계속도 165km/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 이상의 성능을 갖춘 수소전기동차 1편성(2량)을 2027년까지 제작하고, 형식 승인 등 안전성 검증을 거쳐 실증 노선에서 시범 운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존 비전철 노선에 수소충전소와 검수시설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전기동차와 함께 운행해 운행시설의 적합성과 성능을 검증한다. 이와 함께 수소열차의 도입을 위한 기술기준과 운영·관리 규정도 마련하고, 제도 개선과 불합리한 규제 해소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오는 8일 대전 한국철도공사에서 실증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사업 시행기관들과 함께 세부 추진계획을 점검할 예정이다.

정의경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K-수소열차의 조기 상용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과 함께 철도산업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이뤄낼 것”이라며 “노후 디젤열차의 수소열차 전환을 계기로 관련 부품과 인프라 산업이 활성화되고,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