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협상 등 경제·통상 업무가 산적한 가운데 오는 6·3 조기 대선까지 불과 한 달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인 만큼 최 부총리는 과도기 정부 운영, 선거 관리 등 정치 업무까지 재차 ‘1인 3역’ 수행에 나서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
한 총리가 이날 사퇴 의사를 밝히고, 이르면 오는 2일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밝히면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는 다시 최 부총리에게 돌아가게 된다. 지난 3월 24일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이 기각되고 국무총리 업무에 복귀한 뒤 38일 만의 일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탄핵 심판 등으로 인한 직무정지의 경우에는 당사자(한 총리)에게 통보되는 순간부터 권한대행 업무가 이관되지만, 이번 경우에는 자정부터 권한대행 업무가 이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최 부총리는 한 총리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했던 지난해 12월 27일부터 헌법재판소의 기각 결정, 업무 복귀가 있었던 지난 3월 24일까지 약 3달간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맡아야 할 업무를 수행했다.
해당 기간 최 부총리는 기존 경제 업무에 더해 대통령이 수행해야 할 국방·안보 회의체 참석은 물론 제주항공 참사, 경남 산청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업무 등 대통령과 국무총리까지 ‘1인 3역’을 맡았다. 탄핵 정국 속 경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번에는 6·3 조기 대선을 한 달여 앞둔 상황인 만큼 ‘과도기 내각’으로서 선거 관리 업무도 최 부총리의 몫이 된다.
각종 사회·정치적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 수반이라는 최 부총리의 본 업무도 쌓여 있다. 최 부총리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아세안+3(한중일)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오는 3일 출국할 예정이었지만, 권한대행 업무를 맡는다면 참석이 어려워질 수 있다.
지난주 미국에서 열린 ‘2+2(재무·통상) 회담’ 이후 미국과의 통상 협의를 위한 후속 과제가 남아 있는 상황도 고민거리다. 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간 안에 양국이 합의할 수 있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차기 정부 몫으로 넘어가더라도 지속적인 협의는 기재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권한대행 업무 지원을 위한 ‘범부처 업무지원단’등 조직의 운영 문제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