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주도적 역할”
26일 Npay가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한 ‘Npay 미디어데이 2025’에서 박상진 대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해 업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
조재박 Inno.Biz 총괄 부사장은 “국내 뿐아니라 해외 주식, ETF, 디지털자산이나 스테이블코인이 투자 자산의 하나로 자리매김 했다”라며 “네이버 포인트를 활용해, 금융자산과 디지털자산의 연결의 가치를 만드려고 한다. 스테이블코인이 금융자산과 연결이 돼 향후 투자에 있어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정책이 마련되지 않은 만큼 Npay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게 될지의 구상에 대해서는 명확한 밑그림을 제시하진 않았다. 다만 Npay에 3000만 명이 넘는 사용자와 가맹점, 포인트 기능 등을 활용해 결제와 유통은 물론 원화 스테이블코인 기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춘 것임은 분명하다고 자신했다.
박 대표는 “아직 정부의 정책 방향이나 구조가 나오지 않아 컨소시엄에 어떤 참여자가 들어와야 하는지, 저희의 역할 범위가 발행과 유통인지, 컴플라이언스인지 어디까지 할 수 있을 지 확정된 건 없다”면서도 “결국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되고 비금융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상황이 온다고 한다면 Npay 포인트 등이 코인으로 대체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이런 것들을 효율적으로 테스트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에게 벨류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환경이 잘 갖춰져 있는 기업, 플랫폼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내에서 Npay에 기대하는 역할도 고민하고 있다”라며 “Npay는 온-오프라인 결제에서 방대한 처리를 할 수 있는 안정적인 인프라와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을 가장 활발하게 만들거나 적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커넥트’, 가맹점 강력한 마케팅 파트너
특히 간편결제 리더십을 오프라인으로 확대한다. Npay는 이날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커넥트’를 공개했다.
연내 출시 예정인 ‘커넥트’는 온라인 결제 경험을 오프라인 가맹점으로도 연결한다는 콘셉트 하에, 현금·카드와 같은 전통적인 결제수단부터 QR·MST·NFC, 얼굴인증 기반의 ‘페이스사인’ 결제까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모든 결제수단을 제공할 계획이다. 사업자는 기존 결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커넥트’ 연결 및 서비스가 가능하며, 고객리뷰·쿠폰 등 고객 접점에서의 다양한 편의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박 대표는 “커넥트는 단순히 결제 기능만이 아닌 가맹점 입장에서 마케팅 툴로 작동할 수 있다”라며 “네이버 스마트 플레이스가 연동돼 오프라인에서도 온라인 못지않게 가맹점과 사용자가 연결되며 고객에게 리워드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