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앙정부의 '탁상공론' 진료권…"지역 생활권 맞는 진료권 필요"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안치영 기자I 2025.06.23 15:53:37

이건세 교수 "현재 진료권, 지역 생활권과 동떨어져"
지역 필수의료 붕괴…공공·민간 의료기관 모두 ‘답답’
"지역이 주도해 생활권 단위 만들어야…중앙은 지원"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고령화와 의료인력 부족으로 지역 필수의료 붕괴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정부 주도로 만든 진료권으로는 지역 의료를 지키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역 생활권에 맞는 진료권을 만들고 이를 위한 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건세 건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사진=안치영 기자)
이건세 건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중진료권 역할과 거버넌스 토론회’에서 “지금의 필수의료 지원 정책은 광역 단위, 중앙정부 단위 중심으로 설계돼 있지만, 실제 현장은 생활권 단위로 움직인다”며 “현행 진료권 설정 자체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지역 실정에 맞는 재설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포와 일산이 한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데 같은 진료권으로 묶인 사례가 대표적”이라고 비판했다.

탁상공론식 진료권 설정은 이미 많은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전남 순천·여수·광양 등 전남 동부권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 필수의료 현장의 심각한 문제를 짚었다. 이 교수는 “소아과 문이 닫히고, 야간·공휴일 진료를 하려는 의사도 없다. 응급 환자가 오더라도 당직 의사가 없어 치료를 못 하는 날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 지역의 필수의료는 공공병원인 순천의료원이 아닌, 대부분 민간병원이 담당하고 있다. 이를 두고 현장 의료진 또한 ‘민간병원이 왜 이런 걱정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의료기관 간 협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점도 큰 문제였다. 의사와 병원 등 의료 자원도 부족하지만 협력이 되지 않아 필수의료 인프라가 없는 지역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민간병원은 치열하게 경쟁하며 살아남으려 하고, 공공병원은 공공의료 정책만 바라본다. 지역 내 협력 시스템이 없으니 특정 병원이 365일 당직을 서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기초자치단체가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권한과 책임, 재정이 부여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그는 구체적으로 지역 단위로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내는 시범사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필수의료는 더 이상 중앙정부 지침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생활권 단위에서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지역 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실질적 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