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8년생인 김 후보자는 2004년 전국철도노조 위원장, 2007년 운수산업노조 초대 위원장을 거쳐 2010년 역대 최연소로 민주노총 위원장에 올랐다. 이후 철도노조로 복귀해 2016년 총파업 당시 위원장을 지냈다. 김 후보자는 민주노총 위원장 시절 ‘온건파’로 분류됐다. 2010년 위원장 당선 시절 민주노총 내 특정 정파에 소속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최다 계파인 국민파 지지를 받아 당선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친분을 맺은 건 지난 2022년 20대 대선에서 노동위원장을 맡으면서다.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선거대책위 노동본부장을 맡으며 노동조합법 2·3조 개정(노란봉투법) 등 노동 공약을 지원했다.
민주노총 출신이 고용부 장관 후보자에 이름을 올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문성현 전 위원장이 문재인 정부 시절 장관급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적은 있었지만 고용부 장관에 민주노총 출신이 오른 적은 없었다. 윤석열 정부는 이정식 전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사무처장을 초대 고용부 장관으로 기용했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영훈 노동부 장관 후보자는 민주노총 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자를 대변해온 인사”라며 “산업재해, 노란봉투법, 주 4.5일제 등 일하는 사람 권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나라를 만들고 산업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역할을 할 인사를 내정자로 모셨다”고 했다.
민주노총을 사회적 대화로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시절 금속노조 위원장 출신을 경사노위 위원장으로 앉히고 노사정 대표자 회의를 하는 등의 노력이 있었지만 성공하진 못 했다. 민주노총을 제도권으로 끌어안고 대화하려는 것은 민주 정부의 과제였다”며 이번 인사 역시 그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노동계는 김 후보자 지명을 환영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입장문에서 “김 후보자는 한국 사회 노동 현장 현실과 과제를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고 본다”며 “김 후보자가 시대적 과제를 깊이 인식하고 노동자 권리를 보장하는 노동부 장관으로서의 소임을 충실히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이 두 차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노동조합법 2·3조 개정(노란봉투법)을 비롯해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 3권 보장, 노정 교섭 제도화 등을 촉구했다.
경영계는 말을 아끼면서도 재계와 각을 세워온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의 장관 내정에 긴장하는 분위기다. 한 재계 관계자는 “김 전 위원장 지명 소식에 놀랐다”며 “아직 지명 상태라 조심스럽지만, 노동 현안을 두루 보면서 ‘삼중고’에 빠진 기업의 위기 상황도 잘 살피면 좋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