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는 이날 오전 강원도 철원과 인제 등 강원도 접경지역을 방문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 접경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접경벨트 지역 민심 잡기에 나섰다.
|
이 후보는 먼저 9·19 군사합의 복원 등을 통해 남북관계를 회복하겠단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9·19 군사합의를 복원하고 대북전단과 오물풍선, 대북·대남 방송을 상호 중단해 접경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지키겠다”며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구성하고 소통 채널을 복원해 군사적 충돌을 비롯한 남북관계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남북이 교류협력을 재개하도록 모색하고, 상호 신뢰를 다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접경지 주민 일상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지역 민심도 챙겼다. 그는 “최근 통과된 ‘민방위기본법’을 조속히 시행해 접경지역 주민들이 겪는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빠른 보상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집행도 속도를 내 소음피해로 인한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 줄 방음시설 설치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평화경제특구 재차 강조…“경제 발전시키고 재산권 보장할 것”
강원도와 경기도 지역 공약을 발표할 때 약속했던 ‘평화경제특구’ 지정도 재차 약속했다. 접경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개선하겠다는 게 주 골자다.
이 후보는 “분단 이후 특별한 희생을 감내해 온 접경지역 주민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평화경제특구를 지정해 접경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후보는 기회발전특구 지정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남북 교류 관문으로서 인프라를 확충하고 평화 거점도시로 육성하는 등의 구상도 밝혔다.
그는 군사시설로 인한 주민 피해를 줄이겠다는 점도 약속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 접경지의 약 42%, 강원도의 50.2%가 군사시설 보호구역이다. 작전수행 명목으로 군이 사유지를 점유해 주민들의 재산권이 침해받고 금전적 손해 등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군 작전상 제한이 없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은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불필요한 군 방호벽은 철거하겠다”며 “행정절차는 지자체로 위탁해 간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남북 평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군 시설로 인한 주민 피해를 줄이겠다는 의도다.
끝으로 이 후보는 “불안이 아닌 평화, 지역경제 후퇴가 아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접경지역 지지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