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베선트 장관이 ‘한국 정부가 관세 협상을 빠르게 끝내고 그 결과를 선거운동에 사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는데 사실이냐”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건 절대로 아니다”고 답했다.
최 부총리는 ‘그럼 베선트 장관이 거짓말을 한 것이냐’는 질문이 이어지자 “저도 어제 (베선트 장관의) 발언을 보고 당황해서 원문을 찾아보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일 회견에서 (미국) 국내용으로 얘기한 것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재무부에 발언 배경을 요청해놨다”고 했다.
미국과의 통상 협의를 서두른다는 김 의원의 지적엔 “서두른 게 아니라 90일 유예를 받았기 때문”이라며 “속도가 빠르지 않다”고 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2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브리핑에서 한국의 6·3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으로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에 “이들 국가의 정부는 선거 전에 무역협정의 틀을 마련해 미국과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기본 틀을 마련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이에 기재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의 틀을 마무리 짓고 그 다음 선거운동을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바가 없다”면서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하겠단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 부총리는 “(자료는) 미국 재무부의 실무자들과 공유하고 낸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대선 출마설이 도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조속한 협상을 지시했는지에 관해서도 “전혀 안했다”고 했다.
‘한미 2+2 통상협의’를 위해 방미길에 오르기 전 한 대행을 만났는지 묻는 질문엔 “전날 저희가 경제전략태스크포스(TF)라는 공개된 회의를 했다”며 “그 회의에 (한 권한대행이) 있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 대행이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사전에 언질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