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산 상품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고했고, 중국 역시 미국산 제품에 125% 보복 관세를 매겼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40~50%로 낮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는 “그렇게 하더라도 1960년대 이후 가장 큰 세금 인상 수준”이라며 “미국의 경제성장률에서 2~3%포인트 하락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존스 창립자는 미 증시가 아직 바닥을 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거시경제 여건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존스 창립자는 연준이 보다 적극적인 통화 완화 조치를 취하지 않은 한 주식 시장이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준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으로, 아주 강하게 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주가는 아마 더 떨어질 것”이라며 “새로운 저점이 나오면 그때부터가 진짜 어려운 시기가 될 것이고, 그제서야 연준이나 트럼프 대통령이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그런 다음에야 현실적인 조치들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4.25~4.5%를 유지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향후 통화정책 조정과 관련해 ”무역 정책의 영향에 대한 더 명확한 그림이 나올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존스 창립자는 1987년 주식시장이 붕괴했던 ‘블랙 먼데이’를 예측하고 막대한 수익을 올리며 유명세를 탔다. 그는 현재 미국 상장기업을 사회적·환경적 기준으로 평가하는 비영리단체 ‘저스트 캐피털’의 이사장직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