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거래량도 증가하고 있다. 성북구의 5월 거래량은 258건, 노원구는 338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87%, 88% 수준이다. 실거래가 신고가 최대 2개월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거래량은 전월을 웃돌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 금천구도 같은 기간 45건으로 전월(55건)의 81% 수준이며 최종 집계 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존 가격을 뛰어넘는 거래도 포착되고 있다. 성북구 장위동 ‘장위 자이레디언트’ 전용 84㎡는 지난달 14억4750만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노원구 중계동 ‘중계 한화꿈에그린 더 퍼스트’ 전용 121㎡ 역시 13억2900만원에 거래되며 기존 기록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내달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서울 외곽지역으로의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성북, 노원, 금천은 실수요에 따라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이라며 “7월부터 강화되는 DSR 규제를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접근 가능한 가격대의 주택을 중심으로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선 상승세의 확산을 과도하게 해석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노원구 등도 전 지역이 오르는 것이 아니라 학군이나 교통 등 입지 요인이 뛰어난 일부 단지에 수요가 집중되는 현상”이라며 “추격 매수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