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4세 고시’ 시킬 바엔 말레이로”…조기유학 보내는 부모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응열 기자I 2025.07.28 17:19:21

‘4세 고시’에 ‘초등 의대반’도 나오는 韓 사교육 시장
초등학생 자녀 동남아 조기유학 고민하는 학부모들
“영어 교육도 기대하지만…사교육 부담 주기 싫어서”
조기유학 우려 목소리도…”적응 잘할지 신중히 고민”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4세 고시’와 ‘7세 고시’, 초등 의대반 등 조기 사교육 광풍이 거센 가운데 동남아 조기유학을 고민하는 학부모들이 늘고 있다. 동남아 국제학교를 다니며 영어 조기교육 효과를 노리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과열된 사교육 부담은 줄이겠다는 취지에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사교육 광풍을 잡지 못하면 이러한 국내 교육시스템 이탈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서 한 어린이가 학원으로 등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기러기 아빠 감내”…동남아 조기유학 보내는 부모들

28일 이데일리와 만난 30대 후반의 학부모 A씨는 현재 키우고 있는 만 6세 아들을 내년 동남아 국제학교에 입학시킬지 고민하고 있다. A씨가 눈여겨보는 지역은 말레이시아다. 우리나라와 너무 멀지 않아 아이를 보러 자주 왕래할 수 있고 생활물가가 저렴하다는 점 때문이다.

1년 학비가 만만치는 않다. A씨는 연간 1000만원대의 학교를 중심으로 고민 중이다. 쿠알라룸푸르 지역에 위치한 헬프 국제학교는 8세 기준 학비가 약 1500만원이고 텐비 국제학교는 약 1200만원이다. 현지 생활비까지 고려하면 더 많은 지출을 고민해야 하지만, 국내에서 여러 학원을 돌며 내야 할 사교육비를 고려하면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다.

A씨는 “조기유학 비용이 더 많이 들긴 하겠으나 우리나라 사교육비나 영어 교육 효과를 보면 수용할 만한 수준”이라며 “엄마는 아이와 함께 가야 해 ‘기러기 아빠’가 되겠지만 아이를 위해 감내하려 한다”고 언급했다. A씨는 조만간 국내 유학원에서 진행하는 태국 국제학교 입학설명회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비슷한 또래의 딸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 B씨 역시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B씨는 아예 지난 6월 싱가포르로 가족 여행을 다녀오면서 말레이시아에 들러 국제학교 현장답사를 다녀왔다. B씨는 “학교 내·외부 시설을 전반적으로 둘러보고 커리큘럼 등에 관한 설명을 들었다”며 “어느 학교에 입학할지는 아직 고민 중”이라고 했다.

◇“사교육 부담 커”…차선책 동남아 유학 증가세

이들은 동남아 조기유학으로 영어 교육 효과도 기대하지만 그보다는 우리나라의 사교육 부담을 덜고 싶다는 이유가 컸다. 영어 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한 4세 고시나 유명 초등 수학·영어학원 합격을 목적으로 하는 7세 고시가 아니더라도 많은 학부모 사이에서 조기 사교육 열기가 뜨겁다. 초등학생 시절부터 학원에서 의대 입시를 준비하는 ‘초등 의대반’도 존재한다. 국내에서 육아를 하면 이러한 사교육 바람에 휩쓸리기 쉽고 자녀에게 일찌감치 입시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는 우려다.

A씨는 “마음 같아서는 미국이나 유럽으로 보내고 싶지만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면 동남아 지역이 차선책”이라며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해 조기유학을 고민하는 것이고 당연히 영어 교육 효과도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나라의 지나친 사교육 부담을 벌써부터 자녀가 짊어지게 하고 싶지 않은 마음도 크다”고 덧붙였다.

동남아 조기유학을 결정하는 학부모는 이들만이 아니다. 한국교육개발원 소속 국가교육통계센터에 따르면 2023년 3월부터 지난해 2월 말까지 동남아 지역으로 유학을 떠난 초등학생은 779명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초등학생 유학생 중 24.3%에 해당한다. 동남아 지역으로 떠나는 초등학생 유학생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21년 3월~2022년 2월에는 185명이었으나 이듬해 조사기간(2022년 3월~2023년 2월)에는 674명으로 증가했다. 3년 연속 상승세다.

“조기 유학 부작용 고민해야”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6학년도 수시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 입장하기 위해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줄을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의 뿌리 깊은 사교육 과열 현상이 해결되지 않으면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이제는 사교육이 필수로 받아들여지는 시대”라며 “이에 따른 학부모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상위 대학과 의대 선호 등 한정된 파이를 두고 과도한 경쟁을 뚫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에 이런 국내 환경에서 탈출하고 싶은 이들도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기유학은 자녀가 어린 시절 낯선 환경에 부딪히는 데다 부모 중 한 명과는 떨어지는 분리가 이뤄지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설현수 중앙대 교육학과 교수는 “조기유학은 부모의 자유의지이지만 너무 어린 나이부터 보내면 기대했던 학습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현지 또는 추후 귀국 시 환경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