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세상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이 많을 법도 한데 오히려 긍정 에너지가 가득하다”며 “그래서인지 자꾸 나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든다. 마음의 빚을 지게 만드는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또 고 의원은 조 전 대표의 사면 여론에 “검찰개혁을 요구했던 우리가 틀리지 않았음을 조국의 사면을 통해 확인받고 싶은 마음”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사면권은 마지막까지 알 수 없는 영역임은 분명하다. 숱한 추측성 기사와 관계자들의 전언이 넘쳐 나지만 대통령조차 마지막까지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 사면권”이라며 “다만 야수의 시간과 같았던 지난겨울 우리가 함께 외쳤던 검찰개혁이 틀리지 않았음을, 서로 생각은 달라도 통합과 연대라는 깃발 아래 모두가 함께 있었음을 확인받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덧붙였다.
8·15 광복절을 앞두고 민주당 내에서는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 요구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 대통령 정무수석 출신인 한병도 의원은 방송 인터뷰에서 “3대가 멸문지화 당했다”며 “과도한 검찰권 행사의 대표적 사례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득구 의원도 최근 SNS에서 “그와 그의 가족은 이미 죗값을 혹독하게 치렀다”며 사면 필요성을 언급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지난 9일 조 전 대표를 면회하기도 했다.
혁신당은 지난달 초 ‘정치검찰 피해자에 대한 사면·복권이 필요하다’며 우상호 정무수석에게 조 전 대표의 사면·복권을 공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