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애초에 (김 후보와) 한 전 총리는 단일화라는 시나리오가 많은 정치 전문가가 실행될 수 있을까 의문을 가졌다”며 “‘’윤핵관‘(윤석열 전 대통령 핵심 관계자)’과 그를 위시한 세력이 우격다짐으로 밀어붙이다가 이런 상황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단일화를 둘러싸고 갈등이 발생한 원인으로 “2020년 황교안 대표 시절 보수가 인구적으로 절대 우위를 차지하던 시절의 망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지금은 인구 구조상 그렇지 않은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국민들 보기에 정치 공학에 가까운 방법에만 의존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똑같은 담론만 가져가는 사람들이 매번 선거에서 상상력을 없애버리고 국민들이 봤을 때 정치 공학에 가까운 방법에만 의존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김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해도 대선에서 기호 2번은 김 후보가 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당연히 그렇게 되는 게 맞지만 결국 대선 후보 공천장에 도장을 찍어주는 것은 당 대표 직인을 가진 사람”이라며 “‘도장런’(도장 들고 달아난다)이 나오면 못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 후보와의 만남을 두고는 “한 후보께서 워낙 저를 아껴주시고 후배로 잘 대해주셨던 분이기 때문에 예의상 만나봬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면서도 “최근 김문수, 한덕수 두 분의 갈등 상황이 생기면서 혹시라도 한쪽을 만나게 되는 것이 정치적 시그널로 비칠까 봐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어떤 분도 만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이 조희대 대법원장 등에 대한 탄핵을 예고한 것에 대해 “아주 안 좋은 형태의 사적 보복”이라며 “민주당 스스로 집권 세력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자인하는 상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