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에 더해 진보성향 시민단체까지 오 수석에 대한 임명 철회를 촉구하고 있어 이재명 정부 1호 낙마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오 수석은 차명 부동산 보유 및 재산 신고 누락과 차명대출 의혹을 동시에 받고 있다.
먼저 오 수석은 아내 홍모씨가 보유한 토지·건물 등 부동산을 오 수석의 친구 A씨에게 명의신탁(차명)해 2012~2015년 검사장 재직시절 재산신고에서 고의로 누락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같은 행위는 부동산 실명법 및 공직자 윤리법에 모두 저촉된다.
오 수석은 검찰 퇴직 후 차명보유 중인 친구 A씨가 부동산 소유권을 돌려주지 않자 소송을 벌여 되찾았다. 해당 부동산은 현재 오 수석의 아들이 소유하고 있다.
차명대출 의혹도 추가로 제기된 상태다. 오 수석이 부장검사 시절 한 저축은행 사주를 위해 친구에게 15억원의 대출을 받도록 알선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대출상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자 저축은행 사주가 개입하기도 했고, 이후 명의를 빌려준 친구는 오 수석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18기)인 오 수석은 임명 당시부터 민주당을 포함한 범여권의 반발이 컸다. 검찰 기득권인 ‘특수통’ 출신인 오 수석이 검찰개혁을 제대로 하겠느냐는 의심이다.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한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석열과 같이 있었다, 특수통 검사로 같이 있었다, 이런 건 제가 보기에 좋지 않다”며 “좀 더 좋은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 같은데 좀 더 보시고 신중하게 찾으시면 좋겠다”고도 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의원 역시 자신의 SNS에 “(오 수석은)26년간 검찰에 재직한 전형적인 특수통 검사”라며 “특수통인 윤석열과도 근무연으로 얽혀있는 특수통 계보다. 특수통 계보 검사들 특유의 끈끈한 인간관계를 벗어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이같은 우려에도 지난 9일 우 수석의 임명을 강행했다.
대통령실인은 이력과 도덕성 논란이 동시에 불거지자 “일부 부적절한 처신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이후 “본인이 그에 대한 안타까움을 잘 표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임명철회 가능성은 사실상 일축했다.
야당은 오 수석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11일 이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민정수석은 인사검증과 공직감찰을 책임지는 자리다. ‘재산 은닉’ 의혹을 받는 인사가 민정수석을 맡는다면 어느 공무원이 민정실을 두려워하겠나”라며 “대통령실의 해명도 기가 막힙니다. 오 수석의 재산 은닉 의혹을 ‘언론 보도로 알았다’고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오 수석은 즉각 사퇴하고, 대통령실은 이 사태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법을 위반한 자는 사정기관을 지휘할 주체가 아니라 수사의 대상돼야 한다”고 했다.
같은 당 호준석 대변인 역시 “공직자 인사검증을 총괄하는 민정수석이 이런 도덕성으로 어떻게 다른 사람을 검증하나”라며 “도덕성을 넘어 불법 여부를 수사받아야 할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보성향의 시민단체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11일 이 대통령을 향해 오 수석 임명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경실련은 이날 성명을 내고 “부동산 실명제를 위반한 민정수석이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을 맡을 수 있는가”라며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철저한 인사 검증을 표방했지만, 다수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공직기강이 무너진 사례가 반복됐다. 이재명 정부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