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날 수퍼빈 공장을 둘러본 뒤 기후테크 분야 기업 및 전문가들과 만나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오 장관은 그러면서 “기후·환경 분야는 공공재 성격을 갖고 있어 기업들이 초기 투자나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초기 창업과 스케일업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타트업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금 조달·판로 확보 애로” 한목소리
환경부를 중심으로 기후테크 분야를 육성하고 있지만 초기 창업기업에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기후테크 관련 제품·서비스는 공공재 성격을 갖고 있어 민간에서 판로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고 실증·상용화에 많은 시간과 자금이 소요되는 반면 단기 성과에 치중하는 금융권이나 투자기관에선 관심이 부족한 탓이다.
차완영 마린이노베이션 대표는 “기후테크 회사는 처음부터 매출을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라 대출이나 투자유치가 힘들다”며 “정부에서 정책 펀드를 만들더라도 실제 집행기관이나 은행에 가면 번번이 거절당한다. 연구개발(R&D) 단계에선 자금 집행이 불가하고 실제 제품 출시나 수출 실적이 있어야 한다는 게 이유”라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R&D를 마친 상태에서 투자금이 없어 양산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해외로 눈을 돌렸다. 미국 투자사로부터 지식재산권(IP) 담보대출인 IP론을 통해 8000만달러를 받게 됐다”며 “우리나라도 잠재력과 성장성,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좋은 회사들을 찾아내고 지원할 수 있도록 정책자금 지원을 다양화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녹색금융 지원기업인 ‘비엔지파트너스’의 임대웅 대표는 “중소기업은 담보 능력이 없어 보증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탄소배출 저감보증제도를 운영중이지만 기후테크 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3조 5000억원 규모의 정부 이차보전 70%는 대기업이 혜택을 받는다”며 “초기 단계의 기후테크 기업들이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빈 수퍼빈 대표는 “페트병을 수거하는 AI 기반 로봇 ‘네프론’을 전국에 1500대 운영하고 있는데 전국 3000여개 공공기관이 설치에 앞장선다면 판로를 넓힐 수 있을 것”이라며 “기후테크 스타트업 제품 구매 시 공공기관 평가에 반영하는 식으로 구매를 촉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
중기부는 기업들의 건의사항을 반영해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했다. 스타트업 주도로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로 △중소기업 맞춤형 공정혁신 및 자원순환 기술 중점 육성 △그린 혁신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창업생태계 활성화 △글로벌 기후테크 네트워크 확장 △기후테크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제도와 체계 정비 등 4대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공정혁신 및 자원순환 분야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총 4186억원의 R&D 지원금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기술 검증에 필요한 자금을 기업당 최대 2억원, 실증의 경우 6억원씩 총 30억원 규모로 투자할 예정이다.
판로 확보를 위해서는 SK이노베이션(096770), 포스코 등 대기업과 공동 사업화를 지원하며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하는 ‘K테스트베드’를 연계해 조달시장 진출도 뒷받침한다.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팁스-CTS 지원사업 연계를 통해 창업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