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재계 총수들, 트럼프 주니어와 극비 줄회동…美 투자 논의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정남 기자I 2025.04.30 14:53:02

'방한' 트럼프 주니어, 국내 재계 총수들과 줄회동
적막감 도는 조선팰리스 주변…극비 보안 속 면담
미국 투자 확대, 관세 쇼크 최소화 등 화두 오를듯

[이데일리 김정남 이다원 기자] 30일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막후 실세’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재계 총수들간 릴레이 회동이 이뤄지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강남 주변은 하루종일 적막감과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호텔 인근 길가에는 한 보수단체가 전날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모자를 쓴 행인들도 보였다. 호텔 측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일부 비상계단 등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고, 경찰은 건물 주변과 출입문 근처를 순찰하고 있다.

그런 만큼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을 위해 호텔을 찾는 재계 총수들을 직접 마주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취재진이 대거 로비 입구에 대기하고 있지만 정확한 시간과 동선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극비리에 면담이 이뤄지고 있다. 회동 장소는 호텔 내부의 한 보안 구역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역으로 향하는 ‘핫라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트럼프 주니어 만난 한화 3형제

트럼프 주니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공식 직함이 없다. 그럼에도 JD 밴스 상원의원을 부통령으로 추천하는 등 막후 실력자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계 한 고위인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쇼크가 예상을 훨씬 뛰어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연결고리를 어떻게든 찾는 게 중요한 만큼 트럼프 주니어와의 면담 수요는 높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 도착,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한을 물밑에서 기획한 것도 미국 행정부와 소통 채널을 만들어 달라는 재계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주니어와 정 회장은 매우 가까운 사이다. 트럼프 주니어는 전날 오후 6시 25분께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했고, 정 회장 부부와 만찬을 하기 위해 곧바로 정 회장의 자택으로 이동했다. 조선팰리스 강남은 정 회장의 집무실이 위치한 건물이기도 하다. 그의 방한은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로는 처음이다.

이날 면담은 아침 일찍부터 이뤄졌다. 오전 8시 45분께 일찌감치 비공개 회동을 마친 ‘한화그룹 3형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방산·조선·에너지),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금융),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유통·로봇·반도체장비)은 이 건물 1층 커피숍에서 포착됐다. 한화그룹 3형제가 동시에 총출동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한화그룹은 3형제에 대한 경영 승계가 이뤄지고 있다.

이번 면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심사인 방산, 조선 등을 중심으로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 금융, 유통 분야까지 대미 협력 기반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3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강남 1층 커피숍에서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회동을 마친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왼쪽)과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오른쪽)이 음료를 주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화그룹은 미국 공화당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의 에드윈 퓰너 이사장과 인연으로 미국 내 인맥을 꾸준히 다져 왔다. 퓰너 이사장은 현재 한화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트럼프 주니어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투자 확대 등 화두 오를듯

이외에 이재현 CJ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이 조선팰리스를 다녀간 것으로 전해졌다. 구자은 LS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도 면담 대상자로 거론된다.

반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해외 체류 일정으로,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국내 출장 일정으로 인해 각각 회동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과의 만남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총수들은 이번 논의 사항을 철저히 비공개에 부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면담은 1:1 대면 차담 형식으로 짧게는 30분 안팎, 길게는 1시간 이상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에서는 관세 쇼크의 파장을 최소화하고 업종별 대미 투자를 확대하는 방안 등이 화두에 올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다른 산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주니어는 총수들의 얘기를 주로 경청하는 것으로 안다”며 “미국 투자의 방식과 규모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다만 트럼프 주니어는 대기업 총수들 외에 정·관계 인사와 만날 계획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재계 총수들 사이의 릴레이 면담이 이뤄지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강남의 지하 입구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사진=이다원 기자)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