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외교부, 공관에 '최상목 체제' 설명한 공한 수거…'이주호 체제'로 재발송

김인경 기자I 2025.05.02 15:00:12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외교부가 주한공관에 공한(공적서한)을 보내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대행 체제로의 변화를 안내했다고 밝혔다.

2일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외교부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행체제를 알리는 공한을 모두 수거한 후, 이날 오전 이주호 대행 체제를 알리는 공한을 새로 보냈다.

지난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사의 표명에 이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사표를 내면서 정부의 대(對) 주한공관 설명도 혼선을 겪었다.

정부는 한 전 총리의 사퇴에 따르는 상황 변화를 주한공관에 안내했다. 각국 공관에 공한을 보내 한 권한대행 사퇴에 따라 2일 0시부로 다시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가 된다는 점과 한국의 외교 기조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 등을 전한 것이다.

하지만 1일 밤 늦게 최상목 장관이 자신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탄핵안이 상정되기 직전 사의를 밝히고, 사표가 수리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외교 공한에 담긴 예고 내용이 결과적으로 사실과 다르게 된 것이다.

이에 외교부는 각국 주한공관에 보낸 공한을 급히 회수에 나섰며 이주호 대행 체제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다시 공한을 발송했다.

이번 공한에는 복무기강 확립과 주재국과의 관계 관리 당부를 비롯해 다음달 예정된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재외선거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그간 권한대행 체제가 새로 들어설 때마다 관련 내용을 주한 외국공관에 알려왔고, 지난달 4일에는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사실과 향후 대선 절차 등을 주한 외국공관에 설명하기도 했다. 외교부가 12월 3일 계엄 사태 후 공한을 통해 각국에 권한대행과 관련한 내용을 안내한 건 이번이 5번째다.

한편, 대통령과 국무총리, 경제부총리까지 공석이 된 상황에서 국정을 맡게 된 이주호 대행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무위원 간담회, 추가경정예산안 의결을 위한 국무회의를 차례로 주재하며 선거 관리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강조했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