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용진이 옳았다" 공간혁신 ‘스타필드마켓 킨텍스점’에 감탄한 이유[르포]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정유 기자I 2025.06.26 15:01:37

26일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 그랜드 오픈
기존 이마트 개편, ‘북 그라운드’ 등 탈바꿈
주요 테넌트는 ‘더 크게’, 신규는 ‘더 새롭게’
정용진의 본업경쟁력 강화, 공간혁신 새로운 도전

[고양=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분명 이마트(139480)인데 이마트스럽지가 않다. 흔히 생각하던 대형마트의 형태보다는 ‘작은 스타필드(쇼핑몰)’ 같은 느낌이다. 대형마트 같은 판매 중심 구조가 아닌, ‘놀고 먹고 쉬는’ 공간에 선택과 집중을 했다. 주요 테넌트(입점업체)들의 매장도 눈에 띄게 넓어져 쇼핑의 쾌적함이 달라졌다. 26일 문을 연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야심작 ‘스타필드 마켓’ 2호점의 첫인상이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의 메인 광장 격인 북 그라운드 전경. (사진=김정유 기자)
이날 오전 10시 그랜드 오픈한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는 9시30분부터 인근 지역 고객들로 입구가 가득 찼다. 일부 입점매장 앞에는 긴 대기줄이 형성되기도 했다. 이곳은 기존 이마트 킨텍스점을 4~5개월간의 공사 끝에 개편한 지점으로 매장의 체질 자체를 바꿨다. 이마트는 최근 ‘장보기가 휴식 되는 공간’을 표방하며 이마트를 스타필드 마켓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8월 죽전점(1호점)에 이은 2호점이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은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기존 이마트와의 차이점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스타필드 ‘별마당 도서관’을 축소해놓은 듯한 ‘북 그라운드’가 광장처럼 넓게 자리하고 있어서다. 북 그라운드는 436㎡(약 132평) 규모다. 북 그라운드를 중심으로 입점 매장들이 배치돼 있는데 특히 ‘올리브영’, ‘다이소’, ‘스타벅스’ 같은 선호도 높은 매장은 기존대비 최대 3배가량 면적을 넓혔다. 때문에 전반적으로 킨텍스점 자체가 쾌적한 느낌을 줬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 2층에 위치한 경북지역 유명 베이커리 ‘두낫디스터브’. (사진=김정유 기자)
아직 문을 열진 않았지만 ‘무신사 스탠다드’(9월 오픈)도 들어선다. 고양시 일산 지역에선 최초다. 식음(F&B) 브랜드에도 신선함을 더했다. 경북 지역 유명 빵집 ‘두낫디스터브’를 경기 북부 지역 최초로 입점시켰다. 스타필드 킨텍스점은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는 더 대형화시키고, 신규 입점은 지역에 없던 브랜드를 추가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콘텐츠를 강화했다.

2층 두낫디스터브에서 만난 한 40대 부부(고양시 거주)는 “기존 이마트 때보다 개편 후에 올리브영 같은 유명 브랜드 규모가 커지고 통로 등 전반이 넓어져서 쾌적하다”며 “기존 올리브영 매장 자리엔 지방의 유명 빵집이 들어왔다고 해서 호기심에 들렀는데, 외부 유명 카페에 온 듯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가장 눈길을 끈 건 휴식 공간이다. 1층 북 그라운드에 이어 2층엔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들이 쉴 수 있는 ‘키즈 그라운드’를 60㎡(약 18평) 규모로 조성했는데, 크진 않지만 식사를 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고객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내 올리브영 매장. 기존대비 면적이 대폭 커졌다. (사진=김정유 기자)
이 같은 점을 보더라도 스타필드 킨텍스점이 ‘가족 친화적’이란 걸 알 수 있다. 이는 지역 상권과 연관이 있다. 킨텍스점이 들어선 고양시의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41%로, 전국 평균(34%)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자녀를 동반한 30~40대 고객을 겨냥한 이유다. 꼭 필요한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되, 공간을 ‘힐링형’으로 과감하게 혁신한 것이다.

이마트의 스타필드 마켓은 지난해 8월 죽전점부터 시작됐다. 최근 이커머스의 성장과 내수 침체로 전통적인 대형마트의 경쟁력이 악화되자 차별화를 꾀한 것인데, 단순 상품 판매 공간을 넘어 고객이 오래 머무르며 쇼핑·휴식·체험할 수 있는 복합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이는 이커머스에선 제공할 수 없는 감성적 요소다.

실제 이마트에 따르면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의 경우 지난해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누계 매출이 개편 이전대비 36%, 방문객 수도 12%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주차 데이터 기반으로 집계한 ‘3시간 이상 6시간 미만’ 체류 고객 수도 개편 이전대비 163% 늘었다. ‘4시간 이상 5시간 미만’ 고객도 184% 증가했다.

이마트는 지난해부터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강조하는 본업경쟁력 강화에 힘을 주고 있다. 본업이란 ‘오프라인 유통’이다. 기존 방식으론 이커머스에 밀릴 수밖에 없는 만큼, 공간 혁신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스타필드 마켓도 이의 일환이다. 이마트의 30년 유통 경험, 스타필드의 공간 기획력을 결합, 지역 밀착형 미래형 유통 모델이다.

위수연 이마트 개발혁신본부장은 “선제적 투자를 통해 킨텍스 상권 내 기존 랜드마크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치열해지는 유통 시장에서 여가와 쇼핑이 융합된 ‘스타필드 마켓’만의 독보적인 고객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과 하림이 전개하는 오징어게임 이벤트 공간. (사진=김정유 기자)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