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내일(26일)부터 대출모집법인별 신규 취급한도를 선제적으로 부여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자율적 가계대출 관리의 일환”이라며 “주택시장 안정화와 연중 안정적인 금융공급 유지를 위한 조처다”고 설명했다.
일부 은행들은 아예 모집인을 통한 주택대출 접수를 일시 중단했다. 농협은행은 이달부터 대출모집을 통한 주담대 접수를 중단했다. 신한은행 또한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7월 실행분) 취급을 일시 중단키로 했다. 지방에서 실행되는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과 영업점 및 모바일을 통한 비대면 대출은 이어간다.
우리은행 또한 물량관리를 위한 비가격 조치의 일환으로 모집인 대출을 타이트하게 관리하고 있다.
은행들은 대출 최장만기 및 한도 축소 등의 조치도 시행 중이다. 농협은행은 이날부터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축소했다. 대면·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취급 시 MCI·MCG 가입을 제한해 소액 임차보증금을 뺀 금액만 대출받을 수 있다. 지난 24일부터는 타행에서 넘어오는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중단하는 등 가계대출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9일에는 수도권 소재 1주택 이상을 보유한 경우 주택구입자금 신규 취급을 일시 중단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18일부터 주담대 만기를 최장 50년에서 30년으로 축소하고 영업점장 전결 우대금리도 0.25%포인트 축소했다.
은행들이 이같이 가계대출 관리에 나선 건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앞두고 이른바 ‘막차 수요’가 몰리고 있어서다. 최근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활발해지고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면서 가계대출 증가 폭·속도 또한 확대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6일 각 은행 가계대출 담당 부행장을 소집해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월별·분기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준수를 당부했다. 금리조정이 아닌 비가격 조치를 통해 자율적으로 물량관리를 해달라는 주문이었다. 목표치를 넘긴 은행들에 대해서는 현장 단속을 나선다는 방침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