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시민들의 바람은 다양했지만 의미는 모두 하나로 귀결됐다. 분열의 정치를 끝내고 국민이 하나 되는 나라를 만들어달라는 요구였다. 불경기에 고통받는 자영업자부터 빈곤을 겪는 노인들, 주거비 걱정에 한숨 쉬는 대학생들까지 우선순위의 차이는 있었지만 통합의 정치를 해달라고 입을 모았다.
|
4일 이데일리가 만난 시민들은 새로운 대통령에게 통합의 정치를 요구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극심한 갈등이 이어져 온 만큼 새로운 대통령이 통합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 달라는 것이다. 서울 마포구 공덕 인근에서 만난 직장인 강모(37)씨는 “그간 보수 정당만 뽑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민주당을 뽑았다”며 “토론회를 보니 나머지 후보들은 모두 네거티브에만 집중하는데 이 대통령은 통합의 메시지나 공약을 많이 강조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영업자 김호세(75)씨 역시 “국민이 반으로 나뉘어 싸우고 있는데 지지자의 대통령이 아닌 온 국민을 안아줄 수 있는 대통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무너진 경제 회복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고물가 속 오랜 기간을 견딘 자영업자들은 지난 계엄 사태 이후 경제가 다시 한번 흔들리며 어려움을 겪어왔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4월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 지급액은 총 6072억으로 전년 동기(5443억원)보다 11.6%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공덕에서 한식당을 운영 중인 50대 김모씨는 “어제는 10팀도 못 받았다. 코로나 때보다 힘들다”며 “손님들이 지갑을 확 열 수 있게 경기 부양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울상을 지었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이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지역 화폐’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서울 서대문 영천시장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신모(44)씨는 “경험상 지역화폐는 밑바닥 경기를 살리는데 큰 도움이 된다”며 “지역화폐 활성화로 무너지고 있는 전통시장도 살아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대학생들과 청년들은 비싼 주거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목소리가 많았다. 연세대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이호승(26)씨는 “정부 (주거 지원) 정책들도 임차보증금 및 월세, 소득 기준을 훌쩍 넘겨 지원을 받지 못한다”며 “이런 사업들의 문턱을 낮추는 방식으로 주거 부담을 덜어줬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로스쿨 입시를 준비 중인 최모(25)씨는 “좋은 일자리가 부족해 취업이 안 되니 너도나도 전문직 시험에 몰두한다”며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생겨나면 전문직 열풍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탑골공원에서는 초고령화 사회 속 노인들을 위한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빗발쳤다. 초고령화 사회에 돌입한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이풍규(80)씨는 “지금은 기초연금과 폐지 수집으로 근근이 먹고 사는데 폐지 수집도 경쟁이 치열하다”며 “공공형 일자리라도 하고 싶은데 경쟁이 심해 매번 떨어졌다. 노인을 위한 일자리도 고민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무료급식소를 찾은 박천석(90)씨는 “일자리를 구하려 해도 이 나이에는 써주는 곳이 없다”며 “기초연금이라도 조금 올려서 팍팍한 우리 삶을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학원가에서 만난 학부모들은 사교육비 경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목동 학원가에서 만난 정경희(56)씨는 “중학생 아들이 하나 있는데 매달 80만원 이상은 깨진다. 방학별 특강까지 들으면 부담은 더욱 크다”며 “학원을 조금 줄이고 싶어도 혹시나 성적이 떨어질까 불안해 그럴 수도 없다. 교육 정책 자체가 전체적으로 바뀌어야 해결될 문제”라고 설명했다.
시민단체들은 내란 종식과 함께 국민통합을 요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 대통령의 취임 첫 과제로 ‘내란세력 척결’과 ‘국민통합’을 꼽았다. 신현기 경실련 정부혁신위원장은 “이 대통령은 국민통합과 내란종결이라는 모순된 요구를 받고 있다”며 “내란 종식이라는 역사적 대의를 야당에 설득하고 구체적 사안별 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여연대 역시 “새 대통령은 주권자 명령대로 내란 종식과 민주주의 회복 등을 위한 책임을 다하는 한편 혐오하고 적대하는 사회를 통합하며 미래 전망을 그려내기 위한 조치를 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