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넥센타이어, 1분기 매출 ‘역대 최대’…美 관세 대응 박차(종합)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다원 기자I 2025.04.30 15:29:11

매출 13.7%↑…영업이익은 감소
유럽 비중 41%…체코 2공장 연내 풀가동
미국 관세 대응 선적 조정·판가 인상 검토
SUV·전기차 고인치 라인업 중심 수주 강화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넥센타이어(002350)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77억 1186만원, 영업이익 407억 1800만원을 잠정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73% 늘었고 영업이익은 2%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59% 줄어든 399억 2000만원이다.

넥센타이어 윈가드 스포츠 3. (사진=넥센타이어)
넥센타이어 측은 “판매량 확대와 함께 고인치 매출 비중 상승 및 우호적 환율 효과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외형 성장을 달성했다”며 “해사운임을 포함한 운송비 비중도 전년 동기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을 보면 유럽(EU)이 41%로 가장 많았다. 금액으로는 3165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용 타이어(OE) 수요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안정적 판매를 지속했고, 교체용 타이어(RE)의 경우 주력 라인업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181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대비 24%의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고인치 비중이 52%로 높은 수준을 달성했다. 한국에서는 전체의 15%에 달하는 115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 기타 시장에서는 일본, 멕시코 등으로 OE 수요를 늘렸고 RE의 경우 중동 지역에서 역대 1분기 중 가장 많은 매출을 냈다.

넥센타이어 유럽공장 전경. (사진=넥센타이어)
넥센타이어는 지역별 시장 상황과 수요 특성을 반영해 각 시장마다 경쟁력을 높이며 역량을 키우겠다는 방침이다. 유럽에서는 체코 2공장 램프업을 지속해 올 연말 가동률 100%를 달성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견조한 판매를 달성, 외형 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

주요 시장엔 미국에서는 정책 리스크에 적극 대응한다. 미국 정부가 수입산 타이어에 부과키로 한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넥센타이어는 관세 효력 발휘 전인 5월 3일까지 미국향 물량을 우선 선적하고, 판가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관세 발효 이후에는 중국, 중남미, 일본 등으로 물량을 재분배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넥센타이어 측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여파로 미국 내수 경기 침체 및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며 “향후 정책 변동에 따른 민감한 영향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관세 정책 여파로 글로벌 선적 활동이 둔화하고 운임 하락을 유발하는 등 연간 운송시장이 안정화할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일본과 호주 등에서는 OE 공급과 RE 거래선 확대 등 물량 확대 전략을 펼친다. 동시에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경상용차(LCV) 등 고인치 중심 수주를 늘린다.

특히 넥센타이어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에 모두 적합한 타이어를 개발·출시하며 고객 중심 브랜드로서 포지셔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윈터타이어 성능 검증 및 시험을 위한 시험 센터도 구축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