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동연 "대북 확성기 중단, 남북 신뢰 회복의 첫 걸음"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황영민 기자I 2025.06.11 21:53:57

"새 정부가 보여준 결단에 북한의 진정성 있는 호응 기대"
접경지역 긴장 국면에서 경기도 각종 지원 이어와
"평화와 이랑 되돌아가도록 경기도 모든 역할 다할 것"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 결정에 “이번 확성기 방송 중단은 남북 간 신뢰 회복의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지난해 12월 23일 오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북마을 종합지원 관련 파주 대성동마을을 방문해 방음시설 설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사진=경기도)
11일 김 지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북 확성기 방송이 마침내 멈췄다. 진심으로 환영한다”라며 “그동안 접경지역 주민들은 오물 풍선과 대북 전단, 확성기 소음으로 큰 불안과 고통을 겪었다. 저도 작년 두 차례, 대성동마을 주민분들을 직접 찾아뵙고 방음창 설치를 지원하는 등 경기도 차원의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근본적으로는 군사적 대치를 멈추는 대책이 절실했던 상황에서, 이번 확성기 방송 중단은 남북 간 신뢰 회복의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새 정부가 보여준 결단에 경기도는 깊이 공감하며, 북한의 진정성 있는 호응도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접경지역이 완전한 평화와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경기도가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북한의 오물풍선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그리고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등으로 접경지역 일대 긴장이 고조되고 주민들 불편이 커지면서 각종 지원책을 실시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대북전단 살포행위 방지를 위해 파주·연천·김포를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시군 공무원, 경찰 등 120여 명이 매일 순찰하며, 24시간 출동가능한 현장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또 북한의 대남 확성기 소음으로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를 입었던 파주 대성동 마을 주택 46채 방음시설을 설치하고, 건강검진 차량과 마음안심버스를 투입해 심리상담, 청력검사 등 252명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는 대통령실 지침에 따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한반도 긴장 완화 등을 위해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는데 취임 일주일 만에 실현된 것이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9일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요청했고, 군 당국이 확성기 방송까지 중지하면서 남북 긴장 완화 조치가 잇달아 이뤄졌다. 북한과의 대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제스처로도 해석된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