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24일 네이버의 세종 AI 데이터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AI 인프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국가 SOC로 규정하고, 민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도입을 국정과제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최 대표는 “데이터센터 하나를 짓는 데 약 1조원이 투입되며, 이 중 3000억원은 건설에, 나머지 7000억원은 고가의 전산 설비에 사용된다”며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인허가 기간만 최소 16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행정 절차 단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과 전기 등 핵심 인프라를 통합 관리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간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 부담을 줄일 수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배 장관은 “중앙처리장치(GPU) 5만 장 확보 등 AI 고속도로 구축을 통해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적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현실 맞는 규제 개선과 집중 투자 시급”
참석한 전문가들은 정부의 AI 인프라 육성 기조에 공감하면서도 전력·토지·GPU 수급·세금 문제 등 현장의 병목 요인에 대한 신속한 해결을 요구했다.
이준희 삼성SDS 사장은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건축 규정이 미비하고, 조형물 기준 등도 현실과 괴리가 있다”며 “전력계통 영향 평가 등 규제 역시 기업 상황에 맞게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특별법 제정, 클러스터 구축,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경무 서울대 교수는 “정부가 과감한 집중 투자를 단행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칠 수 있다”며 “시간이 많지 않다. AI 인프라는 정말로 ‘골든타임’을 놓치면 안 된다”고 말했다.
류석영 KAIST 교수는 “DARPA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다수의 팀을 경쟁시키고 3개월 단위로 정보를 공유하는 구조”라며 “이제는 국내 기업들 간에도 정보를 나누고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과기정통부 “데이터센터 성공 위해 전방위 지원”
정부는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규제 완화와 인프라 투자 촉진에 나선다. 배 장관은 “데이터센터가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제 혜택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의 투자 의지를 살리고,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실질적인 AI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