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는 오는 16일 출범 예정인 국정기획위원회를 통해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비롯한 정부 조직개편안을 논의한다. 주요 공약에 포함된 만큼 국정 과제로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에너지업계를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기후’에 산업의 기반이자 국가 안보의 핵심인 ‘에너지’ 정책이 밀려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뒤따른다.
문 차관은 새 정부의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설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국정기획위 내에서 이 같은 우려를 충분히 반영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문 장관은 산업부 내 에너지 부문 주요 보직을 거친 ‘에너지통’으로 꼽힌다.
그는 “향후 국정기획위와의 협의를 통해 구체화하게 될 것”이라며 “정책 간 긴밀한 연계를 염두에 두고 국정기획위, 장관님과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차관은 취임식 이후 기자단과의 티타임에서도 관련 질의에 “기후에너지부가 어떤 식으로 만들어지더라도 산업부와 긴밀히 협력해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한다”며 “현재 관계부처 간 이뤄지는 인사 교류 시스템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향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국정기획위원회가 정식 발족하면 이곳에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그 틀과 방향이 잡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
문 차관은 마지막으로 “일하는 과정에서 노력하는 동료 직원이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 스스로 문재인 정부 때인 지난 2020년 월성 원전 1호기 영구정지 결정 과정에서 이곳에 대한 경제성평가를 조작했다는 의혹과 그에 따른 검찰 수사에 엮여 지난해 대법원 무죄 판결이 나올 때까지 4년여 고초를 겪은 산업부 관료 중 하나다.
문 차관은 직원들에게 “더는 세종청사에 올 일이 없으리라 생각했는데 4년 8개월 만에 친정으로 돌아오게 돼 더없는 영광”이라며 “민간인으로서 산업부를 바라본 경험은 1차관으로서의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