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임시로 재단장해서 홈페이지를 쓰려고 해도 데이터가 없어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속히 리뉴얼 하려면 (홈페이지) 레이아웃이나 디자인과 같은 것들의 소스코드가 있어야 한다”며 “다만 현 용산 대통령실에는 이런 것들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수소문 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건 말이 안 되는 행동이다. 업무 방해와 비슷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홈페이지 주소나 도메인을 관리하는 비밀번호는 없애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기록관에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홈페이지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홈페이지 메인 화면은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은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국민과 함께하는 국정’을 실현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털 소통 플랫폼을 준비 중입니다”는 문구로 변경된 상태다.
하지만 관련 부서에서 근무했던 파견직 공무원들이 대통령실로 복귀하지 않는 등의 문제로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을 찾은 뒤 업무 첫날인 지난 4일 대통령실 내부에 대해 “꼭 무덤 같다. 컴퓨터도, 프린터도 없다. 황당무계하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파견됐던 정부부처 공무원들도 인수 인계를 하지 않은 채 부처로 전원 복귀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 대통령은 이들에 대한 복귀 지시를 내렸다.
|
한 경제부처 관계자는 매체에 “부처 전원 복귀 결정은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윤재순 전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인수인계 인원을 남기지 않고 전원 복귀 지시가 이례적이긴 했지만, 워낙 직무 대행 기간이 길었고 특별한 인수인계 사안도 없어 (지시를)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대통령실에 파견된 각 부처 공무원들은 대선 하루 전날인 지난 2일 비서실장 등의 지시에 따라 자신이 근무하던 각 비서관실의 문을 걸어 잠근 뒤 퇴근했다. 이 과정에서 윤석열 정부에서 생산된 문서나 자료 등을 순차적으로 파기했고 컴퓨터도 초기화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대선을 2주 가량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실이 새 정부에 인수인계하지 않을 테니 PC를 파쇄하라고 지시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시 대통령실은 “민주당의 주장은 허위”라며 “대통령실은 대통령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든 조치를 적법하게 취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