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관세 협상 결과 수도권, 대경권, 호남권, 충남권, 동남권 등 전 권역 자동차 산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완성차 업계보다 규모가 작은 기업이 더 많은 자동차 부품 업계의 관세 타격이 훨씬 더 크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확대될 것이라 예상한다.
수도권 중에서는 인천이 지난해 기준 대미 자동차 수출 비중이 전체 자동차 57.6%, 신차 기준 88.1%를 차지하고 있다. 충남권에서도 대미 수출액 중 자동차가 31%를 차지하고, 울산 등이 속한 동남권은 3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경권과 호남권 역시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자동차 부품 생산이 감소하고 국내 생산 물량 축소가 불가피할 것이란 예상이다. 실제로 부품 관세 부과 첫 달인 지난 5월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은 전년 대비 8.3% 줄어든 4억3000만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
한 중소 부품사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는 10곳 중 9곳 이상이 중소기업인 만큼 미국의 고율 관세에 자체 대응하고 버틸 역량이 부족하다. 관세 영향이 이어지면 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직은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량의 현지 부품 조달률이 48.6% 정도로 낮은 상황이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지속 및 노란봉투법 통과로 인해 국내 사업장의 노사관계 어려움이 가중되면 현지 조달 체제가 굳어질 수도 있다.
한·미 의원연맹이 미국 행정부와 의회를 상대로 우리 기업들의 미국 공장에 적용되는 관세를 면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오히려 소재·부품·장비(소부장)를 미국 내에서 조달하는 공급망 전환 요구를 받은 상황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미국 현지 생산이 증가하면서 국내 생산 감소와 공동화까지 우려되고 있어 해외 진출이 여의치 않은 국내 부품업체들은 각종 입법 리스크로 인해 앞으로 더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