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동산 불장 응급처방…디딤돌 등 정책대출 조인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나경 기자I 2025.06.26 18:59:16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7년래 최고…HUG, 무주택 요건 강화]
65세 이상 부모 다주택자땐 제외
괸리 사각지대 있던 정책대출 문턱↑
투기성 수요 대출 우회로 차단 목적

[이데일리 김나경 기자] 정부부처 간 이해관계로 그간 가계부채 관리 사각지대에 있던 정책대출 문턱이 높아졌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주택도시기금 대출에 대한 무주택 기준을 기존보다 강화하는 내용의 공문을 은행에 전달했다. 무늬만 무주택자가 정책대출을 받는 경우 등 규제 회피를 막겠다는 것이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최근 급증하자 디딤돌대출 등 정책성 대출까지 관리 강화에 나섰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지난 23일 HUG에서 내집마련디딤돌·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상자 요건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받고 이번주 접수분부터 바뀐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디딤돌대출은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버팀목은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를 대상으로 하는 주택도시기금 재원 정책대출이다.

기준을 바꾸기 전에는 무주택 기준 중 만 60세 이상의 직계존속(부모와 조부모)에 대해선 주택 수를 따지지 않았으나 이제는 무주택자나 1주택자여야 한다. 직계존속의 나이도 60세에서 65세로 높아졌다. 직계존속 연령을 상향 조정하면서도 무주택 또는 1주택 보유자만 인정해 대출 요건을 강화한 것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 등 이른바 가계부채 관리 당국에서는 일찍부터 ‘실수요자 위주 정책대출’로의 개편에 목소리를 내왔다. 은행권 고위 관계자는 “요건이 엄격해져서 정책대출 대상 자체가 줄어든다”며 “부모가 자녀의 집을 대신 사줘도 자녀는 무주택 세대주로 간주돼 정책대출을 받았는데 이제 그런 우회로가 없어진다. 투기성 수요를 잡겠다는 것이다”고 해석했다.

부동산 불장에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선제적으로 주택대출 관리에 나선 것으로 읽힌다. 서울 강남 아파트값 급등세는 최근 서울 모든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넷째 주(17~23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새 0.43% 올랐다. 이는 6년 9개월래 최고 상승률이다. 이에 정부는 서둘러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시장 안정화 대책에는 내달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을 앞두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를 다시 강화하고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을 담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