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화 자체도 방화범 침입을 허용한 문화재 부실 관리로 논란이 일었는데, 복구 과정 역시 지난했다. 먼저 수년 이상 건조한 목재를 이용해 복원을 해야 했는데, 광화문 보수로 국내에 수령이 충분한 소나무가 부족했던 점부터 난관이었다.
복원을 맡게 될 대목의 선정에서도 잡음이 있었고, 이후 공사가 전통기법으로 진행되지 않아 원형 훼손 우려가 있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와 개방을 앞두고 논란이 심해졌다. 안료도 복원에 쓸 양이 부족해 일본산 안료를 상당 부분 썼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기와는 초반 공사에 공장제 기와를 써 재시공에서 이를 모두 교체해야 했다.
공식 개방 전인 2013년 2월에는 가림막을 철거하면서 복원 결과를 일부 확인할 수 있게 됐는데, 이 때도 좌우 성벽 복원부가 비대칭이라 이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공식 개방 당일 수많은 시민들이 돌아온 숭례문을 보러 현장을 찾은 것이 무색하게, 5개월 뒤인 10월에는 단청이 벗겨져 복원이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화재청이 확인한 결과 단청 뿐만 아니라 기와가 깨지고 현판에 금이 가는 등 여러 하자가 발견됐고, 감사원에 다시 감사청구까지 하게됐다. 당시 변영섭 문화재청장이 부실 복구에 대한 책임으로 경질됐다.
부족한 목재를 어떻게 조달한 것인지 논란이 있었던 탓에 2014년에는 목재 DNA 분석까지 했는데, 그나마 목재는 한국산으로 판명됐다. 그러나 같은 해 5월 감사원이 감사결과를 내고, 결국 문화재청에 재시공을 통보했다.
|
방화 후 5년만에 복원, 이후 10년 뒤까지 이어진 부실 논란은 숭례문 복원에 비친 ‘한국적인 상황’을 그대로 보여줬다. 심지어 부동산 공화국 아니랄까봐 방화범조차 토지 개발 보상에 불만을 품어 문화재에 불을 지르고 다녔던 인물인 점을 감안하면, 이 사건은 우리 사회에 내재한 갈등양상과 비리상을 다 반영한 사건이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