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주식 투자 실패 비관'...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그해 오늘]

이연호 기자I 2023.01.03 00:03:00

50대 남성, 2005년 1월 3일 출근길에 7호선 전동차서 방화
빠른 초동 대처로 사망자 없어...범인 45일 만에 검거
"주식 투자 실패해 생활고에 죽으려고..." 자백
전동차 내장재, 불연재 교체 속도 계기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새해 첫 출근일이었다. 저마다 새해 희망찬 포부로 부푼 가슴을 안고 집을 나섰다. 여느때처럼 평온한 아침이었다. 그러나 조금은 이른 출근길에 나선 사람들에게 예상치 못한 큰 화(火)가 닥쳤다.
2005년 1월 3일 오전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에서 소방관들이 전동차의 잔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14분께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행 열차가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철산역을 향해 접근하던 중, 전동차 7번 객실에서 한 50대 남성이 미리 준비한 석유 등을 이용해 불을 붙인 신문지를 객차에 던졌다.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60대 여성이 화상을 입었다.

다만 30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역대 최악의 방화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된 대구 지하철 참사가 발생한지 불과 2년이 지난 시점이라 초동 대처는 빨랐다. 사고 발생 직후 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 직원이 소화기를 이용해 재빠른 초동 진압에 나섰으며 승객들은 철산역에서 하차해 모두 무사히 대피했다.

이후 광명사거리역 방면으로 긴급히 대피를 하던 열차는 미처 잔불이 정리되지 않아 재발화했다. 화염에 휩싸인 열차는 광명사거리역 대피 선로에서 가까스로 완전히 불길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화재가 발생한 전동차의 기관사는 끝까지 남아 광명사거리역 대피 선로까지 열차를 책임지고 운행하는 직업의식을 보여 줬다.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전동차 기관사가 승객 대피 및 화재 초동 진압 매뉴얼을 무시하고 혼자 마스터키를 갖고 탈출하며 인명 피해를 키운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었다.

방화범은 불을 지른 직후 도주했지만 사건 발생 45일 만에 경찰에 검거됐다. 그의 배낭에서는 일회용 라이터 15개가 발견됐다. 해당 불로 열차 8량 중 3량이 전소했다. 3량 중 2량은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타 폐차됐다. 그나마 상태가 양호했던 1량은 도봉차량사업소에서 화재 사고의 경각심을 높일 목적으로 영구 보존 처리됐다. 해당 불로 약 20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온수 구간 전동차 운행이 3시간 30분 가량 중단됐다.

방화범은 범행 동기에 대해 “주식 투자에 실패해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흔적도 없이 죽으려고 방화를 저질렀다”고 자백했다.

새해 벽두부터 아찔한 대형 인명 사고로 남을 뻔했던 이 사고는 열차 안전성 측면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내기도 했다. 대한민국 전동차 내장재 개조 작업이 이 사건을 기점으로 빠르게 속도를 냈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듬해인 2004년부터 내장재 교체 작업이 진행됐지만, 속도는 거북이걸음이었다. 2004년 말까지 불연재로 개조된 전동차는 서울 기준 20%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 사건 이후 전동차 내장재를 불연재로 신속히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다. 결국 2000년대 후반까지 여유 있게 전동차 내장재의 불연재 교체 작업을 진행하려던 철도 회사들은 애초의 계획을 수정해 2006년까지 모든 전동차 내장재의 불연재 개조를 완료했다.

당시 사건이 발생했던 7호선 일부 역들엔 조형미를 위해 승강장의 외벽을 인공 암반처럼 꾸며 놓기도 했는데 그 재질이 화재에 취약하고 유독 가스를 내뿜는 우레탄이었던 터라, 이 사건 이후 인공 암반은 철거되고 평범한 타일로 대체되기도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