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가의 세계⑪] 유배지에서 반찬 타령한 조선최고의 선비

강경록 기자I 2024.12.06 00:00:13
조선시대 허련이 그린 김정희 초상
[예종석 한양대 명예교수 겸 음식문화평론가] 인류의 역사는 음식의 변천사이기도 하다. 우리의 밥상은 이미 과거의 밥상이 아니다. 조선후기의 기록에 성인 남자는 7홉(약 420g)의 쌀로 한 끼 밥을 지어먹었다고 한다. 요즘 공깃밥의 두 배 규모다.
예부터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고 했지만 이젠 달라졌다. 최근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집계가 시작된 196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요즘 사람들은 한 끼에 평균 밥 반 공기 정도로 버티고 있다. 반면 돼지, 소, 닭고기 등 3대 육류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 1인당 60.6㎏으로 쌀 소비량을 넘어섰다.
우리 경제의 산업화는 외식 산업의 발달과 함께 식생활의 서구화를 가져왔다. 20년 전만 해도 식탁에서 볼 수 없었던 브로콜리, 셀러리, 파프리카가 등장하고 식당에선 부대찌개, LA갈비와 같은 정체가 모호한 음식들이 팔리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과 배달 음식의 소비도 날로 늘어가고 있다.
한 시대의 음식문화 발전에는 항상 그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인물이 존재한다. 그들은 새로운 식재료와 요리법을 개발하고, 그것을 즐기며 평가하는 사람들이다. 편리한 식기와 식탁예절을 도입하는 것도 그들의 몫이었다. 오늘날의 음식문화를 만든 이들이 누구이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브리야 사바랭은 “당신이 무엇을 먹는지 말해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주겠다”고 했다. 이제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아볼 때다.
◇금수저 중의 금수저였던 ‘추사 김정희’

추사 김정희(1786년~1856년)는 그 역량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조선의 우뚝한 인물이다. 그는 최고의 서예가이자 실사구시를 주장한 학자이며, 화가, 금석학자, 시인, 전각가로 이름을 떨친 선비다. 그의 집안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벌족가문이었다. 증조모가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였으니 왕실과도 혼맥이 닿아있고, 고조부는 영의정, 조부는 형조판서, 부친 김노경은 예조, 이조, 형조의 판서 등을 두루 지냈다. 추사는 요즘 말로 금수저 중의 금수저였던 셈이다.

게다가 그는 신동이었다. 추사는 젖을 떼자마자 심상치 않게 붓을 가지고 놀았다고 한다. 그가 7살 되던 봄에 ‘입춘대길’이라고 쓴 휘호를 대문 앞에 붙여 놓았더니, 지나가던 영의정 채제공이 보고는 집에 들어와 대단한 솜씨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남인의 영수이자 시파였던 채제공은 노론 벽파의 명가인 추사 집안과는 교류가 없었다. 그런데 불쑥 찾아온 그를 보고 놀란 추사 부친 김노경이 어쩐 일이냐고 연유를 물었다. 체재공은 “이 아이는 장차 명필로 이름을 세상에 떨칠 것이오. 그러나 그렇게 되면 팔자가 기구할 것이니 절대 붓을 잡게 하지 마시오”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대동기문’에 수록된 이야기인데 이 말은 훗날 그대로 적중한다.

추사는 어려서부터 시서화(詩書畵)에 모두 능했던 실학자 박제가의 가르침을 받았다. 초정 박제가는 북학파의 영수 연암 박지원의 제자로 추사는 그들의 학통을 계승한다. 추사의 글씨는 자신의 타고난 재주도 재주지만 집안내력이 있는 것으로 증조부 김한신, 부친 김노경이 다 당대의 명필로 이름을 떨쳤다.

추사는 부친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1809년 24세 때 동지사 겸 사은사의 부사로 연경(북경)에 가는 아버지를 자제군관의 직책으로 수행했다. 추사는 그곳에서 뛰어난 서예가이자 금석학의 대가인 옹방강과 역시 대학자인 완원을 만나 많은 배움을 얻고 자료도 기증받는다.

추사는 그들을 흠모한 나머지 완원의 완자를 따 완당이라는 아호를 갖게 되고, 옹방강의 아호 담계에서 담자를 취해 보담재라는 아호를 얻었다. 훗날 추사학 연구의 권위자인 후지츠카 치카시는 이 세 사람의 만남이 청조학의 완성과, 조선으로의 유입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추사는 그 후에도 그들과의 꾸준한 교류와 연구를 통해 학문과 예술 모두에서 최고의 위치에 다가가게 된다. 그는 벼슬길도 순탄해서 성균관 대사성, 병조참판, 형조참판에 올랐지만, 1840년 9월 윤상도의 옥사에 연루돼 고초를 겪고 제주도로 유배를 가게 된다.

제주도로 가는 길에 추사는 오랜 벗 초의선사가 주지로 있는 해남 대둔사(지금의 대흥사)에 들린다. 그곳의 대웅보전에는 동국진체를 확립한 원교 이광사의 편액이 걸려있었다. 추사는 초의선사에게 그 글씨가 형편없다며 떼어버리라 하고는 새 현판을 써주고 떠났다. 추사의 자부심이 하늘을 찌를 때의 이야기다. 심지어 전주를 지나면서는 지역 명필 창암 이삼만을 만나, 작품을 감상하고는 시골에서 글씨로 밥은 먹겠다는 혹평을 해 그의 제자들에게 봉변당할 뻔한 일도 있었다. 창암은 추사보다 16살 연상이었다.

김치 모음 (한국관광공사)
◇가혹한 귀양생활을 버티게 한 아내의 집밥

추사의 귀양생활은 가혹했다. 제주도에서도 오지인 대정현에 위리안치됐다. 위리안치는 중죄인에게 내리는 높은 수위의 유배형으로 탱자나무 가시 울타리를 치고 지정된 곳 외에는 외출을 금하는 것이다. 추사는 병고도 많이 겪었지만 무엇보다 조악한 음식을 견딜 수 없었다.

그는 그때부터 예산에 있는 부인 예안이씨에게 한글편지를 써 반찬을 보내달라는 투정을 하기 시작한다. 추사는 부인에게 진장을 보내라, 김치를 보내라하다 젓무와 김치, 조기젓, 곶감, 겨자에다 귀한 어란과 민어까지 보내달라고 떼를 썼다. 당시 사정으로 예산에서 제주도까지는 도착이 빨라야 두 달, 늦으면 6, 7개월도 걸렸다. 보내는 것도 힘들지만 보낸다고 성히 간다는 보장도 없었다. 물건을 받고 나서는 상한 것이 왔다고 불평 가득 담은 편지를 보냈다. 마른반찬은 괜찮지만 약식과 인절미는 상해서 아깝고 새우젓은 맛이 변했다고 투덜거렸다. 그런 철부지가 없었다.

그러기를 2년여, 추사는 제주도에서 19통의 편지를 아내에게 보냈다. 1842년 11월, 병중에 있으면서 묵묵히 뒷바라지만 하던 부인은 마지막 편지를 받아보지도 못하고 먼저 세상을 떠났다. 추사는 밤새워 목 놓아 울었다. 그녀의 빈자리는 컸다. 추사는 부인을 추도하는 시에서 “내세에는 서로 바꿔 태어나/ 나는 죽고 그대는 천 리 밖에 살아남아/ 그대가 나의 이 슬픔을 알게 했으면”이라고 안타까운 심경을 피력했다. 후대의 ‘언간학’ 연구자 김일근이 묘사한 것처럼 추사는 “대담 강직한 태음인”이면서도 “이지와 정감의 소유자”였다. 그때부터 추사는 모질게 마음먹고 현지에 적응해 나갔다.

세한도 (국립중앙박물관)
그런 고난 속에서 그는 이른바 ‘열 개의 벼루에 구멍을 내고 천 개의 붓을 닳게 하는 정진’ 끝에 추사체를 완성했다. 연암의 손자 박규수는 추사체를 “신이 오는 듯, 기가 오는 듯하며 바다의 조수가 밀려오는 듯하다”고 했다. 제자 이상적은 청나라에서 귀한 서책을 구해 그 먼 곳까지 꾸준히 갖다 줬다. 추사는 그의 신의에 대한 보답으로 세한도를 선물했다. 지금의 국보 180호이다. 추사가 좋아하는 차를 보내 주던 초의선사와 제자 허소치가 가끔 대정으로 그를 방문해서 위로해 주는 것도 큰 힘이 됐다. 추사는 이따금 초의선사에게도 부인에게 하듯 차를 보내달라고 떼를 쓰는 편지를 보내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제주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 사재를 털어 백성을 구휼했다는 객주 김만덕의 미담을 듣게 된다. 그 선행에 감동 받은 추사는 ‘은광연세’라는 편액을 써서 그 후손에게 전하기도 했다. 은광연세는 ‘은혜의 빛이 온 세상에 퍼지다’라는 의미다. 그런 과정을 통해서 추사는 달라지고 있었다.

1848년 12월, 8년 3개월에 걸친 긴 유배생활 끝에 추사는 풀려난다. 귀경길에 그는 대둔사에 다시 들러, 초의선사에게 자신의 생각이 짧았다며 떼라고 했던 원교의 편액을 다시 걸라고 했다. 전주에도 들러 이삼만에게 과거의 무례를 사과하려 했으나 그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추사는 서울로 돌아와 강상(지금의 용산)에 머물렀는데, 1851년 7월 예송논쟁에 휘말린 영의정 권돈인의 배후로 지목되어 다시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된다. 권돈인은 추사의 친구였다. 66세 노구를 이끌고 떠난 귀양길은 그에게 형극이었다. 북청에서도 추사는 독서와 작품 활동, 그곳에서 많이 나오는 고대석기를 연구하는 일로 소일했다. 북청 유배는 이듬해 여름에 풀린다. 추사는 아버지 묘소가 있는 과천의 별서 과지초당에 기거하면서, 서화와 선학에 몰두하며 마지막 예술혼을 불살랐다.

말년에는 봉은사에 드나들면서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 그즈음에는 음식이나 사람에 대해서도 달관의 경지에 이른 듯, ‘대팽두부’라는 예서대련을 남겼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최고의 음식은 두부, 오이, 생강, 나물이요(大烹豆腐瓜薑菜), 최고의 모임은 남편과 아내, 아들, 딸, 손자와 함께하는 것이다(高會夫妻兒女孫).” 추사는 타계하기 사흘 전 봉은사의 현판 ‘판전(板殿)’을 썼는데 소위 큰 재주는 오히려 서투르게 보인다는 ‘대교약졸’의 상징적인 걸작이다. 추사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한 인간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는 예술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