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선 이탈, 전공자도 급감…"원전 인력 6년 뒤 4500명+α 부족할 것"

윤종성 기자I 2024.08.19 05:00:00

영남대·단국대·위덕대 3개교 원자력학과 폐지
카이스트 원자력학과 입학생 8년째 한 자릿수
원자력 전공 재학생 2219명…5년새 20% 줄어
6년 뒤 인력 수요 대비 공급 4500명 부족 전망
원전시장 확대에 인력 수요 ↑…인재양성 시급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대한민국 원자력공학의 산실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의 2024학년도 2학년 학생은 7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그나마 2학기에 4명의 학생이 추가돼 늘어난 수치다. 이 학교의 윤종일 교수는 “얇아지는 인재 풀이 국내 원전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까봐 걱정”이라고 답답해했다.

경북 경주에 소재한 위덕대는 지난해 에너지전기공학부를 전격 폐지했다. 원자력, 전기공학 등을 가르치는 이 학부는 인근에 위치한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꾸준히 취업해 한때 인기였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 이후 지원자가 급감해 결국 문을 닫았다. 위덕대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탈원전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래픽= 김정훈 기자)
국내 원자력공학계의 대를 이을 인재 풀이 갈수록 얇아지고 있다. 탈원전 혹한기를 겪으며 주요 원전 기업들의 인력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인력난이 ‘원전 르네상스’의 최대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이스트, 2학기에도 3명만 원자력 전공 선택해

18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올해 2학기에 2학년이 되는 학부생 중 3명만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를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카이스트는 입학 시 전공 없이 들어와 1년을 보낸 뒤 2학년이 되기 직전 전공을 결정한다. 상반기(3월) 입학생은 그 해 12월에, 해외 지원자 등 하반기(9월) 입학생은 이듬해 6월에 결정한다.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를 전공으로 결정한 학생은 올해 1, 2학기 각 3명에 불과했다. 전과를 택한 1명을 포함해 카이스트 2학년 중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전공자는 7명 뿐이다.

탈원전 정책 이전만 해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인 2012년 등 극히 일부 해를 제외하면 2학년 1학기에 이 전공을 선택한 학부생은 매년 20명대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첫 해인 2017년 9명(1학기 기준)으로 뚝 떨어진 뒤 △2018년 5명 △2019년 4명 △2020년 7명 △2021년 6명 △2022년 4명 △2023년 8명 △2024년 3명 등에 불과했다. 현재 카이스트 2~4학년에서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전공자는 30명이 안 된다.

카이스트 뿐만이 아니다. 탈원전 이후 원전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원자력 전공 대학·대학원 입학생은 계속 감소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원자력 전공 입학생(학사 기준)은 2017년 552명에서 △2018년 463명 △2019년 458명 △2020년 417명 △2021년 396명 △2022년 424명 △2023년 418명으로 하향세다. 작년 입학생은 2017년 대비 75% 수준이다. 학·석·박사를 합친 원자력 전공 재학생은 2017년 2777명에서 지난해 2219명으로 558명(20%) 줄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인 지난 2021년 12월29일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등을 원자력발전 관련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30년 원전 인력 4500명 부족?…더 모자랄 수도”

영남대 기계공학부(2018년), 단국대 원자력융합공학과(2020년), 위덕대 에너지전기공학부(2023년)의 줄폐지로 현재 원자력 전공을 둔 학교는 서울대, 카이스트,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포항공대, 한양대, 경희대, 중앙대, 세종대, 경북대, 부산대, 조선대 등 전국에 15개교 뿐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들 학교에서 배출하는 졸업생을 비롯해 매년 2000명 안팎이 원전업계에 유입돼 2030년 인력 공급 규모가 4만7000명 가량 될 것으로 봤다. 반면 원전시장 확대, 소형모듈원자로(SMR), 방사설폐기물 관리 등 미래 기술 개발로 인력 수요는 이를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원전산업 규모는 2021년 21조6000억원에서 2030년 32조8000억원으로 커지고, 이 기간 인력 수요는 3만5000명에서 5만15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오는 2030년 인력 수요 대비 공급은 약 4500명 부족할 것이란 관측이다.

인력 수급 불균형이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원전산업 성장에 대한 확신이 서면 민간부문에서 인재 채용, 시설 투자를 과감하게 늘려 반도체처럼 인력난이 가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종일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신규 해외 수주, 신한울 3·4호기 사업 재개 등으로 인력 수요가 계속 늘어나는데, 현재 인력 구조로는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기 힘들다”고 부연했다.

◇“특별법 제정해 지속가능한 원전 정책 확신 심어야”

현재 국내 원전 인력은 3만 5104명(2022년 기준)이다.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 3만7261명이었던 인력이 탈원전 혹한기를 겪으며 5년간 5.8%(2157명) 줄었다. 이 기간 국내 3대 원전 공기업인 한수원, 한전KPS(051600), 한전기술의 자발적 퇴직자는 1230명에 달했다고 김장겸 의원실은 집계했다. 같은 기간 원전주기기 제조사인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직원 수를 7728명에서 5622명으로 27% 감축했다.

원전산업 성장세를 감안하면 인력 양성이 시급하지만, 원자력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반응은 여전히 미온적이다. 경희대 원자력공학과에 재학 중인 이동규 씨는 “정권이 교체되면 다시 에너지 정책이 180도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에 항상 불안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권이 바뀌어도 원전 정책이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 통해 대학가에 팽배한 원자력 전공 기피현상을 극복하고, 우수 인재가 유입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정권이 교체되면 다시 찬밥이 될 수 있는데, 학생들이 원자력 전공을 선택하겠느냐”며 “원전산업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정권에 상관없이 원전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윤종일 교수는 “수 년내 발생할 수급 불균형은 퇴직자를 활용해 대응할 것”을 제언했다. 현재 원전산업 종사자의 50대 8008명, 60대 1796명으로 전체 인력의 27.5%를 차지한다. 원전 수출로 추가 인력이 필요해진 공기업에 한해 기획재정부가 정원 제약을 풀어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의료계 집단행동

- 의대생 단체 "올해도 휴학 투쟁"…의대생 복귀 불투명 - 의정갈등 해결할 리더는…의협회장 선거 투표돌입 - 오늘부터 대입 정시 원서접수…의대정원 재논의 불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