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데스크칼럼] 기후위기 대처 없이 ‘고물가’ 대책 없다

박철근 기자I 2024.04.01 05:20:00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최근 유통시장의 핫이슈는 뭐니뭐니해도 ‘물가’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물가는 정부나 통화당국의 기대만큼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과일, 채소 등 밥상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다 보니 소비자들의 시름은 깊어만가고 있다.

최근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소위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라고 불리는 중국 이커머스의 돌풍도 물가와 무관하지 않다. 중국 이커머스 돌풍의 이유는 밥상물가와 관련된 제품보다는 공산품 중심이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눈높이가 높기로 유명한 국내 소비자들이 품질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은 중국산 제품 구매에 열광하는 현상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말도 안되는 저렴한 가격이 기저에 깔려서다. 몇 개의 제품은 돈을 버린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조악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구매품 10개 중 1~2개만 성공해도 국내 이커머스에서 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 싸다는 소비자들의 반응을 고려하면 2024년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관심은 가격 그 자체인 상황이다.

심지어 밥상물가는 정치적 이슈로 비화했다. 지난달 18일 고물가 현장을 직접 찾기 위해 한 대형마트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소위 ‘대파 발언’ 때문이다. 당시 물가현황을 인지하지 못한 채 나온 윤 대통령의 발언은 여야 정치권에서 여러 말들을 보태면서 정치적 사안으로 비화했다.

하지만 작금의 고물가 현상을 일시적 현상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온다. 고물가의 아이콘이 된 사과값의 폭등은 결국 작황부진에 따른 것이다. 작황부진의 이유는 바로 이상고온이 큰 원인이었다.

최근 초콜릿의 원재료인 코코아 가격은 작년보다 무려 3배나 오른 t당 1300만원을 돌파하며 향후 세계 초콜릿 가격의 상승을 예고했다. 국내에서 밸런타인데이나 빼빼로데이에 많이 활용하던 초콜릿 값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코코아 가격의 급등 역시 지난해 여름 세계 코코아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코트디부아르·가나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 내린 이례적인 폭우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기후위기가 단순히 환경보호 차원에 그치지 않고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해외에서는 이미 상당한 연구와 논의를 진행 중이다. 최근에도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인플레이션 압력을 부추기는 지구온난화와 폭염’이라는 제하의 보고서가 게재됐다.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이 2035년에는 식량은 3.2%포인트, 전체물가는 1.18%포인트 상승을 가능케 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특히 대부분의 원재료를 수입해 가공한 뒤 판매·수출을 하는 한국 경제 입장에서는 기후변화가 불러일으킬 파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정부가 예산을 풀어 판매가격을 안정화시키고 식품업계를 불러모아 사실상 가격인하를 종용하는 근시안적 정책은 금세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진보·보수 정권을 막론하고 기후위기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다가올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제는 ‘기후위기대응이 백년지대계’라는 마음으로 서둘러 준비해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