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당 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회 구성원 7명 중 4명이 `강성 친문`(문재인)`인사로 분류되는 상황에서 친문 색채가 상대적으로 옅은 비주류 인사들을 발탁 배치한 셈인데, 부동산과 검찰·언론 개혁 등 각종 쇄신책 추진 과정에서 이전과는 차별화한 행보를 예고한 것으로 보인다.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부동산 정책에서부터 `온도 차`가 감지된다. 최근 당 부동산 특위 위원장이던 진선미 의원을 교체한 송 대표는 직접 관계부처 장관 보고를 받는 등 정책 손질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후보 시절부터 무주택·실수요자 금융 규제 완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상향 조정 등을 주장해 온 송 대표는 변화에 무게를 둔 반면, 일부에선 부동산 시장 폭등 가능성을 들어 신중론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완화 기류에는 공개적으로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병원 최고위원은 새 지도부 출범 후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주택연금 확대나 이연 납부 도입 등으로 소득이 부족한 종부세 납부자들의 실질 부담을 줄여주는 미세조정을 할 수 있지만 투기억제, 자산격차 해소라는 보유세 강화 원칙이 흔들려선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코로나 손실보상 소급적용 입법을 두고서는 기획재정부 등 정부의 반대 의견을 설득하는 게 과제다. 정의당·국민의힘뿐 아니라 초선의원 등 당내에서도 소급적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정부 측에서는 이미 지급한 재난지원금과 타 업종과의 형평성, 재정부담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송 대표는 “당정 간 긴밀한 조율이 필요하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검찰·언론 개혁 방안을 둘러싼 갈등도 예상된다. `민생` 우선과 외연 확장을 표방한 송 대표 체제에서도 개혁 드라이브를 주창하는 목소리는 여전하다.
최고위원 선거 결과를 `개혁의 승리`로 규정한 김용민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에 “개혁 속도조절론(사실상 포기)은 대선 승리라는 명분으로 포장된다”면서 “그렇게 승리하기도 어렵지만 국민에게 상처주고 분노하게 만드는 승리는 승리가 아니다. 국민이 승리해야 진정한 대선 승리”라고 강조했다. 최근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기소한 것을 두고서도 “유 이사장의 대선 출마가 언급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소가 이뤄졌단 사실에서 정치적인 의도가 의심된다”며 “하루빨리 검찰개혁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