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려 사람들은 왜 불경을 필사했을까[알면 쉬운 문화재]

이윤정 기자I 2023.06.17 07:00:00

아교에 금가루 섞어 정성스레 만들어
감색 만들기 위해 15번 쪽빛 염색
최상의 품질로 자신의 신앙 표현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日서 환수

우리 ‘문화재’에는 민족의 역사와 뿌리가 담겨있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도 있듯이 수천, 수백년을 이어져 내려온 문화재는 우리 후손들이 잘 가꾸고 보존해 나가야 할 소중한 유산이죠. 문화재는 어렵고 고루한 것이 아닙니다. 문화재에 얽힌 재밌는 이야기, 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는 문화재 이야기를 전합니다.<편집자주>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고려시대 사람들은 불교 경전을 베껴쓰는 ‘필사’를 함으로써 공덕을 쌓았어요.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바로 ‘사경’(寫經)인데요. 공덕을 위한 목적에서 제작된 사경은 불경을 널리 보급시키는 유일한 수단이기도 했습니다. 고려인들은 이 사경을 일반적인 먹으로 쓴 것이 아니라 아교에 금가루와 섞어 만든 금니와 은니로 한자 한자 정성스럽게 써서 만들었어요. 아교가 섞여 글을 쓰기도 쉽지 않았을텐데 이렇게 불경을 필사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묘법연화경 권제6(사진=문화재청).
초기 사경은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불교경전을 옮겨적는 방식으로 제작됐어요. 그러다 점차 소원을 빌고 착한 일을 통해 업적과 어진 덕을 쌓는 방편으로 널리 확산됐죠.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 때 사경 제작이 성행했습니다. 국가 기관인 사경원을 통해 국가 안녕을 빌거나 개인적 차원에서 돌아가신 부모의 극락왕생 등을 바라는 목적으로 제작됐어요. 특히 1236년(고종 23)에 몽고침입을 불력으로 항거하기 위해 팔만대장경을 만들고 강화도에 대장도감을 세운 뒤에 많은 사경을 제작하게 됐는데요. 귀족들 사이에서도 가문의 영달을 위해서 사경을 집필하는 것이 유행하게 됐죠.

고려사경은 독특한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어요. 경을 감싸주는 겉표지 그림에는 금은니로 보상당초문을, 안표지 그림에는 경전의 내용을 쉽게 묘사한 변상도가 금니로 각각 그려져 있어요. 형상은 권자본(卷子本·두루마리로 된 책)과 절본(折本·종이를 옆으로 길게 이어 일정한 폭으로 접어서 갠 책)이 있는데 보통 절본이 많습니다. 절본인 경우 크기는 너비가 31㎝, 길이는 11㎝이고 1면에 6행을 구획해 1행에 17자로 썼어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경은 통일신라 경덕왕 때 만들어진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권43이에요. 장식경 또는 공덕경의 의미를 보여주는 최초의 작품인데요. 1979년 국보로 지정된 이 사경의 겉표지 그림과 안표지 그림은 금은니로 그림을 그렸어요. 경문에서는 흰 닥나무 종이에 묵자로 글을 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일본에서 환수된 ‘묘법연화경 권제6’에서도 사경을 제작한 목적을 엿볼 수 있어요.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한 경전이에요. 고려시대 묘법연화경은 호림박물관 소장본이 국보로 인정받는 등 당대 한·중·일 사경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고 있어요. 총 7권 중 제6권인 ‘묘법연화경 권제6’은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만일 이 ‘법화경’을 받아 지녀 읽고 외우거나 해설하고 옮겨 쓰면 이 공덕으로 눈, 귀, 코, 혀, 몸, 뜻이 다 청정하리라”라는 내용이 적혀 있어요.

이 작품은 쪽빛 염색을 15번 이상 해야 나오는 ‘감색’(紺色) 종이에 글자마다 개성있는 필체로 표현이 돼 있어요. 특히 금은니로 글자를 썼던 것은 그만큼 금과 은이 그 시기에 가장 귀했기 때문이에요. 감색을 만들기 위해 10번 이상 염색을 했던 것도 그만큼 정성을 들인 것이라 볼 수 있는데요. 최상의 품질로 사경을 만들어 자신의 신앙을 표현한 것이죠. ‘묘법연화경 권제6’은 700년 가까운 세월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앞으로 다양한 연구와 전시에 활용될 전망이라고 하네요.

‘묘법연화경 권제6’ 변상도(사진=문화재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